[이원주의 하늘속談]최신 여객기가 번개를 더 무서워하는 이유
비행기가 벼락을 맞는 일은 드문 일도, 크게 위험한 일도 아니다. 비행기 한 대가 1년에 평균 2번, 시간으로는 5000∼6000시간마다 한 번씩 벼락을 맞는다는 미국 보잉사의 통계도 있다. 하지만 한동안 항공사들은 이 번개에 민감했다. 특히 에어버스의 A350, 보잉의 B787 등 최신형 항공기를 다수 도입해 운영하던 항공사들의 마음고생이 있었다. 최신형인 이들 비행기 기종이 구형 기종들보다 번개에 더 취약했기 때문이다. 두 비행기의 공통점은 동체에 적극적으로 사용된 신소재다. 비행기 강성을 더 높이면서 무게까지 줄일 수 있는 탄소복합소재를 50% 이상 활용해 동체를 제작했다. 문제는 전기 전도성이 낮다는 점이다. 기존 비행기 동체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져 번개가 비행기에 맞아도 자연스레 꼬리 쪽으로 흘러 나갔고, 탑승객이나 전자장비도 보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신형 비행기는 이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비행기 제조사들은 구리로 된 촘촘한 철망을 동체 전체에 깔아 문제를 해결했다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