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 개 |
|
- 취지:
- 1967년 한국민속공예전으로 시작
- 한국전통공예의 맥을 잇고 새시대의 조형미의 창출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자 창설됨
- 심사,발표:
- - 동아일보사가 위촉한 심사위원회
- 동아일보 지면을 통해 발표
- 시상:
- - 동아공예대상2점
- 동아공예상 4점
- 특성15점내외
- 문의처:
- 일민문화관(02)721-7771, 본사문화사업국(02)361-0734~5
|
일 정 |
|
- 1996년 9월 2일(월), 3일(화) 접수
오전 10시 ~ 오후 5시 일민문화관(동아일보 광화문사옥 721-7771~2)
|
프로그램부문 |
|
- 목공예, 도자공예, 금속공예, 염직공예, 목칠공예, 나전공예, 피혁공예,
수공예, 지공예, 옥석공예, 매듭공예, 초고공예, 기타
|
자 격 |
|
-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연령 및 학력 제한 없음
단, 출품작은 본인이 직접 제작한 작품으로서 미발표 신작이어야 하며,
기입상자는 1회에 한함
|
역대수상자 |
|
23회 전통공예
상 |
작 가 |
작품명 |
분 야 |
동아공예대상 |
장 석 | 백옥사각겹수반 |
옥 공 예 |
동아공예상 |
박종군 이강청 |
시대적책무(부제:지휘도) 날고 싶은 새 |
금속공예 도자공예 |
특 선 |
허희경 배금용 서정용 이성준 |
바람을 맞이하는자 두루마리 서류함 바둑판 문 갑 |
목칠공예 |
특 선 |
김정숙 팽정화 성석진 | 발 사 랑 만 추 |
도자공예 |
특 선 |
문영숙 |
소품함 |
금속공예 |
특 선 |
석희란 |
사주함 한쌍 | 지승공예 |
23회 현대공예
상 |
작 가 |
작품명 |
분 야 |
동아공예대상 | 최성란 | 나(我)… | 금속공예 |
동아공예상 | 박수용 | 화 합 | 도자공예 |
동아공예상 | 정시내 | 빛 | 목칠공예 |
특 선 | 심인보 진수연 정희균 | 서울-달동네 구도(求道) 시간-축적- | 도자공예 |
특 선 | 홍은옥 | 파무(波舞) | 목칠공예 |
특 선 | 백 은 | 태양제 | 목 공 예 |
특 선 | 공두석 | 쉼터에서 | 금속공예 |
특 선 | 양성원 나미경 조미현 이미학 | 꿈에서 눈을 떠보니 기억의 저편 삶에 대한 분석적 사고 그렇게 될지어다 | 염직공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