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과 단결의 3•1정신, 우리의 미래 100년 밝힐 등불이다
Posted February. 28, 2019 07:38
Updated February. 28, 2019 07:38
통합과 단결의 3•1정신, 우리의 미래 100년 밝힐 등불이다.
February. 28, 2019 07:38.
.
100년 전 3월 1일 이 땅에 울려 퍼졌던 대한독립만세의 함성을 상상해본다. 일제의 탄압을 뚫고 삼천리 방방곡곡을 뒤덮은 그 외침은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의 모태이며 씨앗이다. 죽음을 무릅쓴 그 외침에는 남녀의 구분도, 노장청의 구분도, 유식자 무식자의 구분도, 부자 빈자의 구분도 없었다. 온 민족이 하나 돼 일어선 의로운 항거였다. 그로부터 100년, 나라를 위해 몸 바친 선열들의 기대에 어긋남이 없을 그런 나라를 만들어가고 있는지 되돌아보면 부끄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민족은 70년 넘게 분단됐고 내부적으로도 지역 계층 이념 간 갈등의 골이 갈수록 깊어가고 있다. 그래서 더욱 절실히 느껴지는 게 통합의 3·1 정신이다. 국사편찬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3·1운동에는 80만∼103만 명이 1690건의 시위에 참여했다. 당시 전국 220개 군 가운데 95.9%인 211군에서 시위가 벌어졌고 미국 중국 일본 등 의 동포들도 동참했다. 초기에는 민족지도자와 청년 학생층이 선도했지만 곧 일반 대중의 자체 동력에 의한 자발적 만세운동으로 발전했다. 직업과 계급을 초월했고, 10대에서 60대 이상에 이르기까지 노소를 가리지 않고 참여했다. 종교의 벽을 허물고 기독교 불교 천도교(가나다 순)가 함께 했다. 전통사회에서 남성의 그늘 밑에서 ‘숨은 존재’로 살아야 했던 여성들이 전면에 나선 것도 3·1 운동의 의미를 더한다. 차별의 벽을 넘어선 그 같은 참여는 이후 임시정부 헌장에 ‘남녀노소 모든 국민이 평등하다’는 원칙을 명문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우리 민족은 그렇게 단합된 힘으로 총칼을 든 불의에 맞섰다. 일제 문서에 공식 기록된 사망자는 725∼934명. 기록에서 누락된 숱한 사상자와 1920년대에 벌어진 시위까지 감안하면 희생자는 몇 곱절로 늘어날 것이다. 세계 비폭력 저항운동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많은 희생자가 난 것은 일제의 탄압이 얼마나 무자비했던가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우리 선조들은 비폭력 평화운동을 지향했고 그것이 운동의 진정성과 국제적 지지를 확보하는 힘이 되어 중국의 5·4운동, 인도 간디의 비폭력 저항 등 세계사의 흐름을 바꾸는 선도적 역할을 했다. 이처럼 100년 전 ‘독립만세’는 민족의 하나된 목소리였기에 세계를 울렸다. 하지만 광복 후 처음 맞은 1946년 3·1절부터 좌익과 우익이 갈라져 기념식마저 따로 가졌고 시가행진 중에 폭력충돌이 빚어지기까지 했다. 북한은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축소하고 북한 지역 중심의 실패한 민중운동으로 왜곡하고 있다. 우리사회에서도 3·1운동을 정파적 이념적 틀에 짜 맞춰 자신들의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빈번하다. 정치권은 사분오열돼 대립하고 사회갈등은 갈수록 더 심해지고 있다. 국민의 삶을 들여다봐도 경제규모는 세계 11위에 이르고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넘었지만 소득불평등은 갈수록 악화되고, 노사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남녀노소 신분고하에 관계없이 모두가 함께 잘사는 사회를 염원했던 3·1정신에 부끄러운 현실이다. 100년 전 3·1운동이 공존공영 정의 평화 등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민주주의 정체(政體)를 지향했다는 점은 자유민주주의와 공화정의 위기가 거론되는 요즘 같은 시기에 더욱 큰 울림을 준다. 3·1운동에서 흘린 숭고한 피가 그해 4월 임시정부의 수립 및 1948년 대한민국 건설의 토대가 됐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3·1운동은 제국주의 열강들의 식민지 쟁탈전이 빚은 1차 세계대전 종결 3개월여 후에 일어났다. 국제사회를 향해 우리 운명을 우리 스스로 결정하겠다고 분연히 외친 것이다. 오늘 하노이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다. 그 결과에 따라 안보지형이 요동치고 우리 운명이 주변국 손에 좌우될 수 있다는 불안감도 떨치기 어려운 현실이다.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선도자 역할을 해야 한다. 그것은 자강(自强)의 안보를 바탕으로 한 외교능력에 달려있다. 이 모든 노력의 출발점은 3·1운동의 진실을 온전히 복구해 계승하는 것이다. 동아일보가 지난해부터 3·1운동 역사를 발굴하는 시리즈를 연재하고, 어제 국사편찬위원회와 3·1운동의 진면모를 총체적으로 조명하는 학술회의를 공동주최한 것도 그런 노력의 일환이다. 조광 국사편찬위원장은 “새로운 한민족의 출발점이 된 3·1운동 역사를 언제나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렇다. 통합 정의 비폭력의 3·1정신은 지난 100년 우리 민족을 살아있게 한 핏줄이었고, 향후 100년 우리의 미래를 밝혀 줄 등불이다.
中文
100년 전 3월 1일 이 땅에 울려 퍼졌던 대한독립만세의 함성을 상상해본다. 일제의 탄압을 뚫고 삼천리 방방곡곡을 뒤덮은 그 외침은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의 모태이며 씨앗이다. 죽음을 무릅쓴 그 외침에는 남녀의 구분도, 노장청의 구분도, 유식자 무식자의 구분도, 부자 빈자의 구분도 없었다. 온 민족이 하나 돼 일어선 의로운 항거였다.
그로부터 100년, 나라를 위해 몸 바친 선열들의 기대에 어긋남이 없을 그런 나라를 만들어가고 있는지 되돌아보면 부끄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민족은 70년 넘게 분단됐고 내부적으로도 지역 계층 이념 간 갈등의 골이 갈수록 깊어가고 있다. 그래서 더욱 절실히 느껴지는 게 통합의 3·1 정신이다.
국사편찬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3·1운동에는 80만∼103만 명이 1690건의 시위에 참여했다. 당시 전국 220개 군 가운데 95.9%인 211군에서 시위가 벌어졌고 미국 중국 일본 등 의 동포들도 동참했다. 초기에는 민족지도자와 청년 학생층이 선도했지만 곧 일반 대중의 자체 동력에 의한 자발적 만세운동으로 발전했다. 직업과 계급을 초월했고, 10대에서 60대 이상에 이르기까지 노소를 가리지 않고 참여했다. 종교의 벽을 허물고 기독교 불교 천도교(가나다 순)가 함께 했다.
전통사회에서 남성의 그늘 밑에서 ‘숨은 존재’로 살아야 했던 여성들이 전면에 나선 것도 3·1 운동의 의미를 더한다. 차별의 벽을 넘어선 그 같은 참여는 이후 임시정부 헌장에 ‘남녀노소 모든 국민이 평등하다’는 원칙을 명문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우리 민족은 그렇게 단합된 힘으로 총칼을 든 불의에 맞섰다. 일제 문서에 공식 기록된 사망자는 725∼934명. 기록에서 누락된 숱한 사상자와 1920년대에 벌어진 시위까지 감안하면 희생자는 몇 곱절로 늘어날 것이다. 세계 비폭력 저항운동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많은 희생자가 난 것은 일제의 탄압이 얼마나 무자비했던가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우리 선조들은 비폭력 평화운동을 지향했고 그것이 운동의 진정성과 국제적 지지를 확보하는 힘이 되어 중국의 5·4운동, 인도 간디의 비폭력 저항 등 세계사의 흐름을 바꾸는 선도적 역할을 했다.
이처럼 100년 전 ‘독립만세’는 민족의 하나된 목소리였기에 세계를 울렸다. 하지만 광복 후 처음 맞은 1946년 3·1절부터 좌익과 우익이 갈라져 기념식마저 따로 가졌고 시가행진 중에 폭력충돌이 빚어지기까지 했다. 북한은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축소하고 북한 지역 중심의 실패한 민중운동으로 왜곡하고 있다. 우리사회에서도 3·1운동을 정파적 이념적 틀에 짜 맞춰 자신들의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빈번하다. 정치권은 사분오열돼 대립하고 사회갈등은 갈수록 더 심해지고 있다.
국민의 삶을 들여다봐도 경제규모는 세계 11위에 이르고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넘었지만 소득불평등은 갈수록 악화되고, 노사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남녀노소 신분고하에 관계없이 모두가 함께 잘사는 사회를 염원했던 3·1정신에 부끄러운 현실이다.
100년 전 3·1운동이 공존공영 정의 평화 등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민주주의 정체(政體)를 지향했다는 점은 자유민주주의와 공화정의 위기가 거론되는 요즘 같은 시기에 더욱 큰 울림을 준다. 3·1운동에서 흘린 숭고한 피가 그해 4월 임시정부의 수립 및 1948년 대한민국 건설의 토대가 됐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3·1운동은 제국주의 열강들의 식민지 쟁탈전이 빚은 1차 세계대전 종결 3개월여 후에 일어났다. 국제사회를 향해 우리 운명을 우리 스스로 결정하겠다고 분연히 외친 것이다. 오늘 하노이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다. 그 결과에 따라 안보지형이 요동치고 우리 운명이 주변국 손에 좌우될 수 있다는 불안감도 떨치기 어려운 현실이다.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선도자 역할을 해야 한다. 그것은 자강(自强)의 안보를 바탕으로 한 외교능력에 달려있다.
이 모든 노력의 출발점은 3·1운동의 진실을 온전히 복구해 계승하는 것이다. 동아일보가 지난해부터 3·1운동 역사를 발굴하는 시리즈를 연재하고, 어제 국사편찬위원회와 3·1운동의 진면모를 총체적으로 조명하는 학술회의를 공동주최한 것도 그런 노력의 일환이다. 조광 국사편찬위원장은 “새로운 한민족의 출발점이 된 3·1운동 역사를 언제나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렇다. 통합 정의 비폭력의 3·1정신은 지난 100년 우리 민족을 살아있게 한 핏줄이었고, 향후 100년 우리의 미래를 밝혀 줄 등불이다.
热门新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