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이대통령 연설 286건 메시지 분석

Posted August. 13, 2009 08:29   

中文

성장 지향형 감소, 서민 지향형 증가

이 대통령은 집권 초기 경제 살리기를 강조했다. 선진화, 경쟁, 글로벌 스탠더드를 표방하는 성장 지향형 연설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와 올해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를 거치면서 이 같은 성장 일변도에서 탈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설문에서도 이 같은 변화가 읽힌다.

성장 지향형 주제어를 극복, 선진, 기업, 경쟁, 글로벌 등으로 정한 뒤 분석한 결과 지난해 24월에는 월평균 85.3건이 나왔다. 반면 올해 57월에는 월평균 67건으로 21%가량 줄었다. 지난해 4월에는 19번의 연설에서 선진(화)라는 단어를 44회나 썼지만 지난달에는 15회로 줄었다.

미래 지향형 주제어도 감소 추세다. 희망, 미래, 새롭다, 성공, 기회 등의 단어가 작년에는 월평균 66회까지 나타났지만 올해 들어서는 53건 정도로 줄었다. 단어의 용례도 작년에는 의심을 품는 것은 낙오자들의 몫이다. 우리 모두 희망과 결의를 가지고 함께 나아가자(한미 재계회의 만찬)처럼 경쟁을 유도하는 맥락에서 쓸 때가 많았다. 반면 올해는 소외된 이웃들에게 물질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마음의 위로가 더 큰 힘이 된다. 그들에게 세상을 살아갈 용기와 희망을 주자(제41회 국가조찬기도회)는 식으로 친()서민 연설에서 자주 이용됐다.

서민 지향형 주제어는 작년 말과 올해 초에 집중적으로 늘었다. 서민, 따뜻하다, 소외, 균형, 배려 등의 단어 빈도는 작년 24월 월평균 8건에서 작년 11월올해 1월 33.6건으로 증가했다. 최근 3개월은 17.6건으로 다소 줄기는 했지만 작년 초와 비교하면 여전히 많다.

통합 및 소통 지향형 큰 변화 없어

이 대통령은 작년 6월 19일 촛불시위와 관련한 특별 기자회견에서 국민과 소통하면서 국민과 함께 가겠다고 말했다. 정권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통합과 소통 부족을 개선하겠다는 뜻이었다. 하지만 적어도 주제어 분류를 통한 이번 조사에서는 그런 메시지가 잘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 듣다, 소통, 섬기다, 국민의(뜻 등 후속 연관어 포함) 등을 주제어로 선정해 분석한 결과 작년 24월에는 월평균 14건이 도출됐지만 작년 11월부터 올해 1월에는 6건으로 낮아졌고, 최근 3개월은 10.3건이었다.

연설문의 어미() 분석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본인의 약속이나 완곡한 주장을 나타내는 하겠습니다 약속드립니다 등의 표현은 작년 초 월평균 73건에서 최근에는 40건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청와대 측은 연설문 외에 대통령이 정책을 통해 소통과 화합의 메시지를 꾸준히 전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작년까지는 경제위기 극복에 매진했기 때문에 나를 따르라 식의 표현이 많았을 수 있다는 설명도 내놓고 있다. 반면 단국대 정재철 교수(언론홍보학)는 대통령은 여전히 국민을 설득하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메시지의 전달력이 떨어진다고 평가했다.

비유와 은유 부족, 건조한 문체는 단점

이 대통령은 최근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자 지명을 철회할 때 노블레스 오블리주(높은 사회적 신분에 상응하는 도덕적 기준)를 거론했다. 또 지난달 16일에는 금융위기는 기업윤리를 망각한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두고 이 대통령이 부자 정권 이미지를 탈피하고 사회 지도층과 기업에 대해서도 과감한 개혁을 주문하는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다.

하지만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이 대통령이 취임사 이후 처음 내놓은 공식연설인 학군 46기 임관식 치사(작년 2월 28일)에서 이미 강조했던 것이다. 이 대통령의 평소 생각이었지만 다른 메시지에 가려서 그동안 부각되지 않았던 셈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종교 편향 논란에 휩싸였기 때문에 공식 연설에서도 이를 고려해야 했지만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측면도 있었다. 그동안 불교 행사에서 10번 한 연설(서면연설 포함)의 평균 연설문 분량은 870자로 비교적 짧았다. 반면 기독교 행사에서는 6번의 연설을 했고, 평균 분량은 1550자로 불교와 비교해 많았다. 물론 연설문의 길이가 특정 단체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지만 대통령이라는 위치를 고려하면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설문 문체가 건조하다는 평가도 있다. 기업인 출신답게 감성적 어휘보다는 주제별로 구체적인 콘텐츠를 설명하는 식이 많다. 반면 세기의 명연설은 대부분 은유와 비유를 풍부하게 사용하고 감정에 호소하는 사례가 많다.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여러분께 드릴 수 있는 것은 피와 노고, 그리고 땀과 눈물뿐입니다라고 웅변해 국민의 혼을 깨웠다. 성균관대 이상철 교수(수사학)는 이 대통령은 경축사에까지 정책을 나열하는 경우도 있다며 때와 장소에 따라 국민의 마음을 파고들 방법론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고기정 홍수영 koh@donga.com gae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