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삶의 질 좌우하는 디지털 역량[내 생각은/배연일]
디지털 역량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필요하다. 이는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우리는 일상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열차표를 사고,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는가 하면 영화표 구매, 음식 주문은 물론 행정기관 서류 발급도 키오스크를 통해 한다. 어디 그뿐인가. 은행에 가지 않고도 송금하고, 창구보다 더 높은 이율을 주는 적금에 가입한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거의 모든 분야에서 키오스크 사용이 늘었으며, 특히 요식업 및 생활편의 분야에서는 보급 개수가 더 많이 증가했다. 문제는 고령층이다. NIA ‘2023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보면 일반 국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할 때 고령층은 70.7%로 저소득층, 장애인, 농어민보다 낮았다. 실제 고령층은 디지털 역량 부족으로 일상생활에서 참으로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각종 업무를 여전히 현장에 직접 가서 해결한다. 불편할 뿐 아니라 본의 아니게 손해를 볼 때도 적지 않다.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