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어리 맛에 대한 인식[김창일의 갯마을 탐구]〈125〉
얼마 전 모로코와 포르투갈, 스페인을 다녀왔다. 지중해, 대서양과 접해 있어 정어리를 즐겨 먹는 나라다. 아프리카 수산 강국인 모로코는 정어리 어획량이 세계 최고다. 스페인은 소금과 올리브 오일로 간을 맞춘 후 그릴에 구워내는 정어리 구이와 정어리 샌드위치 등 다양한 정어리 요리를 즐긴다. ‘땅에는 올리브, 바다에는 정어리’라 표현해도 과언이 아니다. 포르투갈은 정어리 요리 및 각종 가공식품뿐 아니라 기념품, 생필품, 건물 벽면 등을 온통 정어리 디자인으로 도배해 놓은 명실상부 정어리 나라다. 이들 국가의 정어리 식문화와 활용을 보며 우리는 왜 정어리를 좋아하지 않는지 의문을 품고 돌아왔다. 정어리를 즐기지 않는 원인을 찾기 위해 책을 뒤졌다. 김려가 유배지인 진해에서 저술한 ‘우해이어보’(1803년)에 정어리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맛은 좋지만 약간 맵고 떫다. 잡으면 바로 구워 먹어도 좋고, 혹은 국을 끓여도 먹을 만하다. 잡은 지 며칠이 지나면 살이 더욱 매워, 사람들에게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