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대 서화를 한눈에…中 국보급 유물들 감상해볼까
“듣자오니 그 글씨가 한 시대에 가장 뛰어났다 하니 감히 사사로이 소장할 수 없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600년(선조 33년)에 우의정 김명원(1534~1602)은 명나라 사람에게 얻은 화가 문징명(1470~1559)의 서첩을 선조에게 바치며 이렇게 말했다. 이에 선조는 “말로만 듣던 것을 직접 보게 되니 진실로 기쁘다”며 그에게 모전(毛氈‧짐승 털로 짠 양탄자)을 하사했다. 당시 명대 서화가 조선에서 어떤 대접을 받았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중국 명나라 시대는 화풍과 화파의 변화가 극심했다. 초기엔 궁정 화가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