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R 인사이트]경력 공백이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한때 경력 공백은 구직자의 심각한 결격 사유로 여겨졌지만 오늘날에는 경력 단절에 대해 거리낌 없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2022년 전 세계 근로자 2만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링크트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3분의 2가 경력 단절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링크트인은 이 설문조사 데이터를 발표하면서 사용자가 경력 단절 기간 습득한 비직업적 경험과 기술을 소개할 수 있는 ‘경력 공백’ 기능을 함께 도입하기도 했다. 이런 변화를 보며 경력 공백이 더 이상 걱정거리가 아니라고 결론 내리기 쉽지만 채용에 관한 중요한 데이터는 다른 결론을 보여준다. 경력 공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이력서 작성 및 커리어 관리 회사 레주메고는 2019년 현장 실험을 실시했다. 다양한 경력 공백이 있는 가상의 지원자 이력서를 만들어 구직 사이트에 게시된 채용 공고 3만6000여 개에 지원한 결과, 경력 공백이 없는 이력서는 회신율이 11% 이상이었지만 1∼2년의 경력 공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