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80대까지 건강하려면 코어근육 키워라”[건강수명 UP!]
기둥은 건물의 하중을 지탱한다. 외부의 충격에 맞서 버틴다. 기둥이 부실하면 건물은 무너질 수 있다. 우리 몸에서 기둥의 역할을 하는 것은 척추다. 척추는 20대 때부터 관리해야 한다. 20대 때부터 척추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방치하면 점점 ‘몸의 기둥’이 손상될 수 있다. 물론 척추질환이 있다고 해서 물리적 수명이 당장 짧아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삶의 질은 크게 떨어진다. 건강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는 뜻이다. 지금, 척추를 중심으로 골격을 튼튼하게 유지해야 하는 이유다. ● 허리 디스크 vs 척추관협착증 대표적 퇴행성 척추질환인 허리 디스크(추간판탈출증)와 척추관협착증은 발병 시기나 증세가 다르다. 허리 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는 병이다. 활동을 많이 하는 30대와 40대, 50대에 많이 발병한다. 반면 척추 주위의 인대나 뼈가 두꺼워지면서 생기는 척추관협착증은 60대와 70대에 더 많이 생긴다. 허리 디스크가 생기면 통증이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