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중년 이후 임시직 비중 OECD 최고… ‘계속고용’ 길 터야
한국 중년 근로자의 고용 안정성이 선진국 중 최악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남성은 중년 이후 정규직 일자리를 그만둔 뒤 비정규직으로 옮기는 경우가 많고, 출산·육아를 위해 일터를 떠났던 여성들이 다시 취직할 때도 임시직이 되는 비중이 높아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55∼64세 근로자 가운데 임시직 비중은 남성 33.2%, 여성 35.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제일 높았다. 남성 8.2%, 여성 9.0%인 OECD 평균의 3배가 넘고, 2위인 일본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높다. 특히 한국의 남성 근로자는 40대 중반, 여성의 경우 30대 중반 이후 근속연수가 더 늘지 않고 비정규직 비중만 증가했다. 반면 미국 등 선진국에선 중년 이후 근속연수가 오히려 더 길어진다. 한국 근로자의 일자리 안정성이 중년 이후 뚝 떨어지는 이유로는 과도한 연공서열형 임금 구조가 꼽힌다. 국내 300인 이상 사업장의 약 60%는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늘어나는 호봉제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