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구 봉쇄조치는 방역상 의미…우한 지역봉쇄와 달라”
정부가 25일 대구 지역에 대한 봉쇄정책과 관련, 지역 자체를 통제하는 봉쇄가 아닌 방역상 의미의 ‘봉쇄정책’이라고 밝혔다. 앞서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고위당정협의회 브리핑에서 “대구·경북·청도 지역은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해 통상의 차단조치를 넘어서는 최대한의 봉쇄정책을 시행, 확산을 조속히 시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 겸 보건복지부 차관은 2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고위당정협의회 브리핑과 관련해 “오해의 소지가 있다”며 “중국 우한시와 같이 지역 자체를 봉쇄한다는 의미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방역 용어로서 봉쇄 전략과 완화 전략이라는 게 있다”며 “봉쇄 전략은 컨테인먼트(containment)라는 최대한 발생의 초기 단계에서 추가적인 확산을 차단하는 장치다. 외국으로부터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든지, 접촉자를 찾아낸다든지, 조기 검진을 한다든지 추가적 확산을 차단한다는 봉쇄 의미”라고 설명했다.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