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담과 개울 따라서 들어가면 자연과 하나된 집이…仁을 구하는 ‘독락당’
2019년이 저물고 있다. 올 한해 건축계가 이룩한 쾌거중 하나는 9개 서원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다. 서원은 우리의 보물일 뿐만 아니라, 이제 세계인들의 보물이다. 옥산서원은 회재 이언적(1491~1553년)이 살았던 독락당이 서원 가까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서원들과는 차별화 된다. 독락당의 관전 포인트는 무엇일까? 독락당은 옥산서원에서 물길인 자계(紫溪) 따라 700m 서북쪽에 위치한다. 옥산서원이 회재의 제자들이 회재 사후에 그를 기념하며 지은 건축(1573년)이라면, 독락당(1532년)은 회재가 살아 있는 동안 지은 건축이다. 그래서 독락당을 보면, 지식인으로서의 회재와 건축가로서의 회재를 동시에 볼 수 있다. 회재는 3번에 걸친 어려움이 있었다. 첫째는 10세 때 아버지가 죽었고, 둘째는 41세 때 김안로의 재임용을 반대하다 관직을 박탈당해서 낙향했고, 셋째는 57세 때 ‘양재역 벽서 사건’(을묘사화 2년 뒤 발생)에 연루돼 평안도 강계로 유배 갔다. 회재는 어려움을 전화위복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