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규선 칼럼]위안부 할머니 34명의 선택은 뉴스가 안 되나
박근혜 정부의 대일정책 기조는 정권 초기에는 해빙무드를 보이다가 정권 말기에 원점으로 돌아가는 롤러코스터에서 탈피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정권 출범 초부터 최대 난제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정상회담의 전제로 내세우는 역순(逆順)의 카드를 뽑아들었고, 3년 가까이를 버텼다. 그 출구가 2015년 12월 28일 합의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 정부도 예전 패턴을 깨는 데는 실패한 것 같다. 위안부 합의가 저항을 받고 있는 데다 양국 갈등이 도졌기 때문이다. 기자는 한일 정부의 합의로 만든 ‘화해·치유재단’의 이사임을 다시 한 번 밝힌다. 지난해 7월 이사가 된 후 ‘내가 욕먹는 위안부재단 이사가 된 이유’라는 글(2016년 8월 1일자)을 통해 ‘불가능한 최선’보다는 ‘가능한 차선’을 지지한다고 밝혔고, 그 소신에는 변함이 없다. 기자 개인의 소신이 뭐 그리 대수인가. 한일 관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언론인데, 최근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부 언론의 보도 태도에 위화감을 느끼고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