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수정 기자의 스마트머니]해외 직구와 지름신 사이
해외 직접구매(해외 직구) 전성시대다. 필자도 삭스피프스애비뉴, 니먼마커스, 노드스트롬 등 미국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에서 옷과 신발을 종종 구입하는 ‘해외 직구족’이다. 2001년 1300만 달러(약 133억 원)로 전체 소비재 수입액의 0.07%에 불과하던 해외 직구 금액은 지난해 말 10억 달러(약 1조 원)를 넘어서면서 전체 소비재 수입액의 1.8%까지 늘어났다. 소비자 입장에서 해외 직구의 가장 큰 매력은 가격이다. 국내에서 파는 똑같은 상품을 세일 및 이벤트 기간에 구입하면 절반 가격으로, 할인 폭이 큰 상품은 3분의 1 가격 아래로도 구입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판매하지 않는 제품이 미국 쇼핑몰에는 많다는 것도 장점이다. 해외 직구는 상품시장을 완전 경쟁시장에 한층 가깝게 만들어 그동안 폐쇄적 유통 정책을 고수하던 많은 브랜드에 변화를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도 있다. 같은 제품을 국내 소비자에게 유독 비싸게 팔아 온 브랜드들이 국내 판매가격을 낮추는 사례가 늘고 있다. 미국의 쇼핑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