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으로 국내 백신 접종 완료자 중 확진된 돌파감염 추정 사례는 588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6일(4731명)에 비해 1149명 늘어난 것이다.
이는 전체 접종 완료자 1461만1702명의 0.04%에 해당하는 수치로, 10만 명당 40.2명꼴로 돌파감염이 발생한 셈이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접종 완료자 10만 명당 110.1명꼴(0.11%)로 전 연령층에서 돌파감염률이 가장 높았다.
최근 2주간 성인 확진자 10.2% 돌파감염
최근 2주간(8월 29일~9월 11일) 만 18세 이상 성인 확진자(2만895명)의 10.2%(2140명)는 돌파감염 사례로 추정됐다. 백신 종류별로 보면 얀센 접종자의 돌파감염 발생률이 10만 명당 161.2명꼴(0.161%)로 가장 높았다. 이어 화이자 0.034%(10만 명당 33.5명), 아스트라제네카(AZ) 0.028%(10만 명당 27.6명), 모더나 0.024%(10만 명당 24.2명) 등 순이다.
AZ 백신으로 1차 접종한 후 화이자 백신으로 2차 접종을 한 교차접종자의 돌파감염 발생률은 0.024%로, 1·2차를 동일한 백신으로 접종한 경우보다 낮았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7일 국회에서 “얀센에서 돌파감염이 높게 보고되는 건 맞다”면서도 “하지만 4차 유행은 20~30대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얀센 접종 대상자 중에서 유행이 컸던 영향도 있고, 1회 접종이라는 차이점도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돌파감염 추정 사례 중 위중증자는 68명, 사망자는 28명이다. 또 돌파감염 사례 가운데 변이 바이러스 분석을 마친 1619명 중 86.2%(1396명)는 주요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