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원웅 광복회 회장은 1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법적인 조치를 하는 걸로 의견을 모아가고 있다”며 “고소장을 내는 결정은 이번 주에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송 규모와 관련해서는 “광복회원 8300명이 1인당 만약에 100만원씩으로 위자료를 요구하면 83억원이 된다”며 “유족 7만2000명까지 합치면 규모가 훨씬 더 커진다”고 설명했다.

논란 확산에 윤 씨는 18일 “논란이 된 제 글은 너무 짧게 쓴 게 실수였다”며 해명하는 글을 다시 올렸다.
그는 자신이 올린 사진은 ‘퍼온 사진’이라며 “만약에 해당 사진의 양극단 이분법이 진짜로 맞다면 친일파 후손들은 그만큼 열심히 살았다는 뜻이 되고 독립운동가들 후손들은 대충 산 사람들이라는 뜻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현실은 절대 그렇지 않다. 독립운동가 후손 중에도 얼마든지 부자가 있고 친일파 후손 중에도 얼마든지 가난한 자가 있을 것”이라며 “말도 안 되는 비교 따위는 집어치우란 것이 글을 쓴 목적”이라고 했다.
윤 씨는 “표현이 부족해서 오해를 부른 점, 그래서 저들에게 빌미가 된 점은 인정하고 사과드린다. 저는 기본적으로 당시 독립운동가들이 대부분 열심히 살았던 사람들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렇다고 그 많은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한마디로 규정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이승만처럼 아주 열심히 살았던 독립운동가도 있었지만 술과 도박에 찌들어 살거나 도둑질을 하다가 독립운동에 나섰던 이도 있었으니까”라며 “역사는 다양한 면을 갖고 있기에 후손들이 특정한 의도를 갖고 딱 한 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진하 동아닷컴 기자 jhjinh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