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 7월 11일

도와줄 정부 없는데 하늘마저…‘동포 구호’ 나서다

공유하기 닫기
원본보기
‘물폭탄 피해’ 동포 위해 최초 구호사업 나서다



1920년 7월은 식민지조선 사람들에게 ‘잔인한 달’이었습니다. 8월 초까지 무려 세 차례나 하늘이 뚫린 듯 비가 쏟아졌기 때문입니다. 동아일보 8월 3일자 3면 큰 제목이 ‘1개월 간에 3차 대홍수’였고 작은 제목은 ‘경성시내의 침수가옥이 2000여 호에 달하고 전차가 끊기고 도로 교량이 모두 떠나가’였습니다. 특히 8월 2일 경성에는 하루 354.7㎜의 엄청난 폭우가 내렸습니다. 1907년 기상 관측 이후 오늘날까지 깨지지 않는 기록입니다.

1차로 쏟아진 비는 7월 초부터 시작해 7월 10일자에 ‘50년래의 대수해’라는 기사 제목이 등장하게 만들었습니다. 한강은 무섭게 불어나 9일 오전 7시경 수위가 이미 10m를 넘었고 흙탕물이 용산과 뚝섬, 마포, 영등포 등을 집어삼켰습니다. 한강 주변에서는 1917년 개통된 인도교(지금의 한강대교)만 눈에 띌 뿐 나머지는 모두 물에 잠겼다고 동아일보는 전합니다.

간신히 목숨만 건진 수많은 수재민들은 먹을 것과 잠잘 곳을 구하지 못해 말 못할 고통을 겪었습니다. 굶주린 수재민들에게는 밥 한 그릇이 절실했죠. 쌀과 땔나무가 있어도 모두 빗물에 젖어 밥을 지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때 동아일보는 굶주림과 추위에 떠는 수재민들을 지켜볼 수만은 없어서 구호사업에 발 벗고 나섰습니다.

동아일보는 ‘뚝섬구호반’을 편성해 10일 새벽 왕십리에서 다섯 수레의 따뜻한 밥과 한 수레의 반찬을 만들어 진퍼리(지금의 행당동)에서 거룻배를 타고 뚝섬을 향해 갔습니다. 그때 뚝섬의 지번은 ‘경기도 고양군 독도면 서독도리와 동독도리’였죠. 서독도리는 지금의 성수동 일대를 말하고 동독도리는 자양동과 구의동을 아우르는 지역입니다. 구호반은 홍수 피해가 극심했던 동독도리 즉 뚝섬 동쪽지역을 맡았습니다.

동아일보 구호반이 왔다는 소식에 남녀노소 수재민들은 바가지나 함지박을 들고 몰려나왔습니다. 기사에는 ‘말 못하게 야윈 두 뺨에 그윽한 미소를 띈 채 서둘러 돌아가는 수재민의 모습을 보고 말로 표현하기 힘든 감정을 느꼈다’는 소감이 나옵니다. 아랫도리를 벗은 5세 아이가 어른들에게 밀려나 밥을 손에 쥔 채로 우는 모습에 다들 눈물 흘렸다는 가슴 아픈 모습도 소개했죠. 이 상황을 종합한 7월 11일자 3면 큰 제목이 ‘따뜻한 밥 보고 쏟아지는 감격의 눈물’이었습니다. 동아일보 창간기자 유광렬은 ‘기자 반세기’에서 이 일을 두고 “아마 우리나라 신문 사상 신문사가 수해구제에 출동한 일로는 처음”이라고 돌아봤습니다.

동아일보는 먹을 것만 주는데 그치지 않고 의약품도 전달했습니다. 직접 뚝섬을 방문해 진료에 나선 남녀 의사의 활약상은 기사로 전달했고요. 또 각계에서 자발적으로 보내온 기부금품 내역을 같은 날짜 지면에 실었습니다. 이는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불우이웃 또는 이재민 돕기 성금’의 첫 출발이었던 셈입니다. 기부금 내역은 7월 25일자까지 계속 게재했고 ‘정성을 다해 가장 효과가 크도록 구호를 하겠다’는 약속도 잊지 않았습니다.

동아일보가 이렇게 나선 배경에는 나라 잃어 더 서러운 수재민을 돕는데 조그만 힘이나마 보태기 위한 동포애가 있었습니다. 7월 11일자 3면 수해 기사에는 ‘동포’라는 단어가 모두 6번이나 나옵니다. 총독부가 손을 놓고 있거나 우물쭈물 할 때 우리 동포를 위해서 소매를 걷어붙였던 것이죠. 결과적으로 신문사가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의 역할까지 맡아 했던 셈입니다. ‘정부 없는 신문’ 시절의 일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수난을 겪은 동포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도 있었습니다. 살 길을 찾아 고향을 버리고 만주로, 일본으로 이주한 동포들이 많았습니다. 이들이 억울한 피해를 당했으나 보호해줄 정부가 없어 하소연할 곳조차 찾지 못했을 때 동아일보는 그냥 지나치지 않았습니다. 이 내용은 다음 기회에 알아보겠습니다.

이진 기자 leej@donga.com
기사입력일 : 2021년 01월 22일
溫飯(온반)에 滂沱(방타)하는 感激(감격)의 淚(루)
社會(사회)의 同情(동정)을 齎(재)하야 纛島(독도)의 罹災兄弟(이재형제)의게
다셧 수레의 밥과 한 수레의 반찬을 준비하야 긔한에 우는 뚝셤형뎨 이쳔삼백인을 구호

구일 밤부터 밤을 새워가며 구호사업에 종사하든 본사(本社) 뚝도구호반(纛島救護班)은 다시 십일 새벽부터는 왕십리(往十里)에 이르러

다셧 수레의 더운 밥과 한 수례의 반찬을 준비하야 가지고 즉시 진퍼리 압헤서 거루를 난호와 타고 뚝섬에 이르러 마종을 나온 면리원(面吏員)과 경찰관(警察官)과 한가지 가튼 뚝도 중에도 뎨일 피해를 만히 당한 동뚝도(東纛島)를 중심으로 구호반을 다시 셰대로 분하야 수레에 밥과 반찬을 난와실코 골목골목이 도라다니면서 배주린 동포들에게 밥과 반찬을 난호와 줄새 『동아일보사 구호반』이 나와서 더운밥을 그저 준다는 복음은 어나덧

입에서 입을 거치여서 온 뚝도가 거의 알게 되얏다. 하로 버러서 하로 먹든 로동자들의 참상은 이로 말할 필요도 업거니와 좀 넉넉히 사는 동포들조차 쌀은 잇스나 물에 채엿고 나무는 잇스나 몹시 저저서 곱흔 배 저진 의복의 하릴업는 형상은 실로 엇더케 하는 수가 업섯는지라. 톄모와 톄통은 배부르고 등 더울 때에 도라볼 것이라는 격으로 남녀로유가 너나업시 칠분 깃보고 삼분 붓그리는 낫츠로 혹은 바가치를 들며 혹은 이남박을 이고 와서 밥을 실은 수레 주위에

셰네겹식 둘너서서 압흘 다토와 가며 수일 사이 업시 퍼주는 밥을 어더가지고 깃붐을 이긔지 못하야 수일 고생에 말 못되게 야위인 두빰에 그윽한 미소를 띄우고 급급히 도라가는 양들은 실로 보는 자로 하야금 무에라 형언키 어려운 억색한 감회를 일으키게 하얏는대. 십일 하오 세시까지 밥을 난호와 준 호수가 오백삼십오호이요 인구가 이천삼백오십인이엿스며 저녁에도 뚝도 사는 유지가 류태형(柳泰馨) 씨의 조력 아래에 뎨이의 구호를 시작케 되야 팔십여호나 되는 빈민에게는 매호마다

쌀과 고기며 미역 파 등속과 불 때일 마른나무까지 일일이 난호와 주어 가긍한 동포들에게 더위와 배부름을 주게 되얏나니. 이로써 본사의 구호반을 위하며 가긍한 재난동포를 위하야 막중한 금젼을 보조하야 주신 독자제씨의 고마운 뜻을 감히 저바리지 안케 되얏다.

病者(병자)의게는 藥品(약품)
약업가의 호의

본사 구호반의 열성과 사회독지의 동정으로 지은 밥과 반찬으로 뚝섬 수해당한 사람에게 먹인 것은 별보와 갓거니와 원래 수해를 당한 사람은 재해당할 때부터 몃칠동안 잠을 자지 못하고 더욱 비를 맛고 주린 배에 급히 밥을 먹기 때문에 병난 사람이 적지 아니하얏는대 특히 경성 내의 각 약업가 제씨가 그럿케 될 줄을 미리 생각하고 환약을 다수히 긔부하얏슴으로 본사에서는 일반 병인에게 일일히 논하주어 림시의 곤색을 페엿는대 일반 병인은 여러 약업가 졔씨의 깁흔 은헤를 무한히 감사한다더라.

懇篤(간독)한 醫師(의사)의 診療(진료)
류홍종 씨와 허영숙 녀사의 호의로 병자의게 위문 진찰


비를 피하고 몸을 수이든 가뎡은 젼부 사정업는 물결 사이에 파뭇어 바리고 척척히 나리는 구즌 비를 거의 수삼일 동안이나 마저 가면서 곱흔 배 쓰린 가삼에 겸하야 떨려 나오는 한긔를 간신히 견듸이든 이천사백여 명의 뚝섬 일대 피란한 동포들의 가이 업는 참상은 이로 형언할 길이 업거니와 십일 아츰부터야 간신히 물이 빠저서 각기 집을 차자 드러오기는 하얏스나

주린 배에 수일 동안이나 비를 마저 가며 밤을 새다십히 하는 몸으로 벽은 무너지고 방은 물초가 되야 바리고 마럿스니 비록 본사 구호반에서 공급하는 음식으로 배는 채ㅤ웟다 하나 여러 가지로 실섭을 만히 하야 그들의 건강은 매오 저상이 되야 혹 복통이 난다 혹은 감긔 긔운이 잇다 하며 애소하는 동포가 적지 안음으로 이에 본사에서는 다시 홍졔의원댱(洪濟醫院長) 유홍종(劉洪鍾) 씨와 영혜의원댱(英蕙醫院長) 허영숙(許英肅) 녀사의 고마운 찬조를 어더

진찰반을 조직하야 가지고 뚝섬에 이르러 피해한 가뎡을 일일히 방문하야 한편으로는 약을 주며 또 한편으로는 다정한 위문을 하얏는대 일반 촌민들의 감격하야 흘니는 더운 눈물은 이로 형언할 수 업거니와 두 의사가 귀중한 시간과 다수한 약품을 허비할 뿐 아니라 진흙이 무릅을 지나는 길에 괴롬를 무릅쓰고 각 집을 차저다니며 친절히 진료함은 일반이 특별히 감사하얏더라.

我社(아사)의 救護(구호)를 待(대)하며
배고품과 치움에 부르지지는 슬푼 소리는 우름을 자아내여


뚝섬 면사무스와 수원지(水源池)□공립보통학교 기타 놉흔 곳에는 남녀로소에게 면사무소에서 림시로 밥을 지여 먹이고 고양군 □서무주임 이하 다수한 군청역원과 경긔도청 디방과원과 합하야 조직된 구호반은 뚝섬공립보통학교 안에 본부를 두고 왕십리(往十里)에서 밥을 지여 적은 배 세 척에 난노와 실허다가 면사무소와 학교와 수도국 기타

각 처소에 잇는 사람에게 난노아 먹이엇는대 피란한 사람이 일쳔오백여 명이라. 저녁밥을 서뚝도리 리명재(李鳴在) 로근식(盧槿植) 량씨가 다수한 밥을 지여 먹이엇스나 원래 수쳔 명이나 되는 다수한 사람이라 몃 사람 먹이지 못하고 밥이 떠러저 밥구경만 하고 엇더 먹지못한 부인과 어린아해는 종일동안 주린 배를 쥐이고 잇든 중 불시에 밥이 도착하매 별안간 아우성 소리가 이러나서 야단인대 힘세인 장뎡들은 인사체면 도라보지 아니하고 달녀들어 밥을 엇어다 처자를 먹이기에 골몰하며 어린아해 절문 부인은

밥그릇만 가지고 밥 뜨는 곳에 가서 머뭇거리다가 밥도 엇지도 못하고 눈물을 씻고 도라서는 사람도 잇고 더욱 홋적삼만 입고 아래동아리는 발가버슨 사오 세의 어린아해는 배는 곱흐고 주지 아니하매 밥그릇으로 손을 듸미러 밥을 집어먹으려다가 먹기에 밋친 여러 사람에게 뒤로밀니어 밥을 손에 든 채로 슬피우는 것을 볼 때에는 무심히 섯든 엽헤사람도 제절로 흘느는 눈물을 금할 수 업스며 이 구석 저 구석에서 바가지 쪽에 밥덩어리와 무 김치쪽을 바다 가지고 정신업시

달게 먹는 모양은 더욱 가련하얏다. 해가 진 후에 물이 차차 줄기 시작하야 물속에 드럿든 집이 드문드문 드러나기를 시작하는대 벽은 다 문허지고 엉성한 형체만 남아잇다. 원래 피란가는 사람들이 그 수란한 중 목슴을 도망하야 나오면서도 소는 다 끌고 나왓슴으로 면사무소 근처에는 ㅤ싀골 적은 시장의 쇠젼이나 될 듯하야 해가 지매 여러 마리의 황소의 웅장한 우름 소래조차 어두어가는 벌판 망망한 바다 속에 잠기여 잇는 참혹한 녯집을 조상하는 듯하얏고 우리를 떠난 도야지도

먹을 것이 드러가지 아니하매 꿀꿀거리고 소래를 처서 일면의 백성을 다사리든 면사무소 압도 람시로 도야지 우리나 된 듯하얏스며 부인네의 알뜰한 마음으로 참아내여 버리고 나오기가 앗가와서 다른 중요한 세간을 다 내여바리고라도 액기고 액기든 옷가지를 담은 농작 등속을 가지고 나온 것이 구석구석 싸이어서 그 참담하고 수란한 모양은 참아 볼 수 업더라.
따뜻한 밥 보고 쏟아지는 감격의 눈물

사회의 동정을 담아 뚝섬의 이재민 형제에게 다섯 수레의 밥과 한 수레의 반찬을 준비하여
굶주림과 추위에 우는 뚝섬 형제 2300명 구호

9일 밤부터 철야 구호사업에 나섰던 본사 뚝섬 구호반은 다시 10일 새벽부터는 왕십리에 도착해 다섯 수레 분량의 따뜻한 밥과 한 수레 분량의 반찬을 준비하여 즉시 행당동 앞에서 거룻배를 나눠 타고 뚝섬에 들어갔다. 마중 나온 면사무소 직원 및 경찰관과 (사정이) 똑같은 뚝섬 중에서도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동뚝섬을 중심으로 삼아 구호반을 3개로 다시 나눴다. 수레에 밥과 반찬을 나눠싣고 골목골목을 돌아다니며 배를 주린 주민들에게 밥과 반찬을 제공했다.

그 사이에 ‘동아일보사 구호반’이 나와서 따뜻한 밥을 무상 제공한다는 복음 같은 소식은 어느덧 입에서 입으로 퍼져 온 뚝섬이 거의 알게 되었다. 하루 벌어서 하루 먹던 노동자들의 참상은 이루 말할 필요도 없거니와 좀 넉넉히 사는 주민들조차 쌀은 있지만 물이 찼고 나무는 있으나 몹시 젖어 고픈 배, 젖은 옷의 어쩔 수 없는 모습은 정말이지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체면과 체통은 배부르고 등 따뜻할 때에나 돌아보는 것이라는 식으로 남녀노소가 너나없이 기쁘지만 조금은 부끄러운 얼굴로 어떤 이는 바가지를 들고 어떤 이는 함지박을 이고 왔다. 밥을 실을 수레 주위에 3, 4겹씩 둘러서서 앞을 다투며 쉴 새 없이 퍼주는 밥을 얻어가며 기쁨을 이기지 못했다. 며칠간의 고생으로 말 못하게 야윈 두 뺨에 그윽한 미소를 띈 채 서둘러 돌아가는 모습은 정말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무엇이라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가슴 답답한 감정을 일으키게 하였다.

10일 오후 3시까지 밥을 나눠준 가구 수가 535호이고 이재민은 2350명이었다. 저녁에도 뚝섬 사는 유지 유태형 씨의 지원으로 2차 구호를 시작하게 되어 80여 호나 되는 빈민에게 가구마다 쌀과 고기며 미역 파 등과 불을 땔 마른 나무까지 일일이 나눠주어 가련한 주민들에게 더위와 배부름을 주게 되었다. 이로써 본사의 구호반을 위하고 불쌍한 수재 동포들을 위하여 소중한 기부금을 내주신 독자 여러분의 고마운 뜻을 감히 저버리지 않게 되었다.

환자에게는 약품
제약가의 호의

본사 구호반의 열성과 사회 독지가의 동정으로 지은 밥과 반찬으로 뚝섬의 수해당한 사람들을 지원한 것은 별도 기사와 같다. 또 원래 수해를 입은 사람은 재해를 당할 때부터 며칠 동안 잠을 자지 못하고 더구나 비를 맞고 굶주린 배에 급하게 밥을 먹기 때문에 탈이 난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특히 경성 내의 각 제약가 여러분이 이런 상황을 미리 예상하고 환약을 많이 기부하였으므로 본사에서는 일반 환자들에게 일일이 나눠져 잠시 동안의 어려움을 펴게 하였다. 일반 환자들은 여러 제약가 여러분의 깊은 은혜에 한없이 감사한다고 한다.

정성어린 의사의 진료
유홍종 씨와 허영숙 여사의 호의로 병자들 위문 진찰

비를 피하고 몸을 쉬던 가정은 모두 사정없는 물결 속에 파묻혀 버리고 척척히 내리는 궂은비를 거의 2, 3일 동안이나 맞아 가면서 고픈 배 쓰린 가슴에 더해 떨려나오는 찬 기운을 간신히 견디는 2400여 명의 뚝섬 일대 이재민 동포들의 한없는 참상은 말로 이루 표현할 길이 없다. 10일 아침부터야 간신히 물이 빠져서 주린 배에 수일 동안이나 비를 맞아가며 밤을 새우다시피한 몸으로 각자 집을 찾아들어오기는 하였지만 벽은 무너지고 방은 온통 물에 젖어버리고 말았다.

비록 본사 구호반에서 공급하는 음식으로 배는 채웠다고 하지만 여러 가지로 몸조리를 많이 하지 못해 이들의 건강은 매우 나빠지게 되었다. 어떤 이는 복통이 나고 어떤 이는 감기 기운이 있다고 하며 호소하는 동포가 적지 않았다. 이에 본사에서는 다시 홍제의원장 유홍종 씨와 영혜의원장 허영숙 여사의 고마운 찬조를 받아 진찰반을 조직해 뚝섬에 도착했다.

피해 당한 가정을 일일이 방문해 한편으로는 약을 주고 또 한편으로는 다정한 위문을 하였다. 일반 촌민들이 감격해서 흘리는 뜨거운 눈물은 이루 형언할 수 없고 두 의사가 귀중한 시간과 많은 약품을 쓸 뿐아니라 진흙이 무릎까지 오르는 길을 괴로움을 감수하고 각 집을 찾아다니며 친절히 진료하는 것에 모두 특별히 감사하였다고 한다.

본사의 구호를 기다리며
배고픔과 추위에 부르짖는 슬픈 소리는 울음을 자아내고

뚝섬 면사무소와 수원지□공립보통학교 기타 높은 곳에는 면사무소에서 임시로 남녀노소에게 밥을 지어 먹였다. 고양군청 서무주임 이하 많은 군청 직원과 경기도청 지방과 직원을 합쳐 조직한 구호반은 뚝섬공립보통학교 안에 본부를 두고 왕십리에서 밥을 지어 작은 배 3척에 나눠 실어와 면사무소와 학교와 수도국 기타 여러 곳에 있는 사람들에게 나눠 먹였다. 피난한 수재민이 1500여 명이라 서뚝섬의 이명재 노근식 두 사람이 많은 저녁밥을 지어 먹였으나 원래 수천 명이나 되는 탓에 몇 사람 먹이지 못하고 밥이 떨어졌다.

밥 구경만 하고 얻어먹지 못한 부인과 어린이들은 하루 종일 주린 배를 쥐고 있던 가운데 갑자기 밥이 도착하니 별안간 아우성 소리가 일어나고 야단이었다. 힘이 센 장정들은 인사나 체면을 돌아보지 않고 달려들어 밥을 얻어다가 아내와 자식을 먹이기에 애썼다. 어린이와 젊은 부인은 밥그릇만 가지고 밥 뜨는 곳에 가서 머뭇거리다가 밥도 얻지 못하고 눈물을 씻으며 돌아서는 사람도 있었다. 더구나 홋적삼만 입고 아래는 벌거벗은 다섯 살 어린이는 배는 고픈데 주지는 않으니까 밥그릇으로 손을 들이밀어 밥을 집어먹으려다가 먹느라 정신없는 여러 사람에게 뒤로 밀려나 밥을 손에 든 채로 슬피 우는 것을 볼 때에는 무심히 서있던 옆사람들도 저절로 흐르는 눈물을 참을 수 없었다. 이 구석 저 구석에서 바가지 쪽에 밥덩어리와 무 김치 쪽을 받아가지고 정신없이 달게 먹는 모습은 더욱 가련하였다.

해가 진 뒤에 물이 차차 줄어들기 시작하여 물속에 빠졌던 집이 드문드문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벽은 다 무너지고 엉성한 형체만 남아 있다. 원래 피난가는 사람들이 그 어지럽던 가운데 살기 위해 도망쳐 나오면서도 소는 다 끌고 나왔으므로 면사무소 근처에는 시골 작은 시장의 쇠전이나 된 듯이 해가 지니까 여러 마리 황소의 웅장한 울음소리조차 어두워가는 벌판, 망망한 바다 속에 잠기어 있는 참혹한 예전 집을 슬퍼하는 듯하였다.

우리를 떠난 돼지도 먹을 것이 없으니 꿀꿀거리고 소리를 쳐서 한 개 면의 주민을 다스리던 면사무소 앞도 임시 돼지우리나 된 듯하였다. 부인네들은 알뜰한 마음으로 차마 내버리고 나오기가 아까워서 다른 중요한 세간은 다 내버리고라도 아끼고 아끼던 옷가지를 담은 장롱 등을 가지고 나온 것이 구석구석 쌓여 있어 그 참담하고 어지러운 모습은 차마 볼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