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하 막힌 철강업계 8000억 손실…야적장 쌓는 것도 한계, 가동 중단 우려

  • 뉴스1
  • 입력 2022년 11월 30일 11시 51분


코멘트
민주노총 공공운수 화물연대 파업 닷새째인 28일 오전 정부가 위기경보 ‘를 심각’으로 격상한 가운데 포스코 포항제철소 앞 도로에는 철강 제품을 수송하는 화물차량들이 자취를 감추며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11.28 뉴스1
민주노총 공공운수 화물연대 파업 닷새째인 28일 오전 정부가 위기경보 ‘를 심각’으로 격상한 가운데 포스코 포항제철소 앞 도로에는 철강 제품을 수송하는 화물차량들이 자취를 감추며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11.28 뉴스1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철강업계가 엿새간 약 8000억원 규모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4일 시작된 총파업이 일주일간 이어지면서 철강재 적재 공간이 부족해 일부 공장의 가동 중단이 임박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화물연대 파업이 장기화되면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철강재를 사용하는 산업 전반에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

30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화물연대 총파업 이후 엿새간 철강재 출하차질 규모는 60만톤(t), 8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일 1000억원이 넘는 철강 출하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출하 차질 물량에 철강 제품 품목별 가중치를 반영한 톤당 평균 가격인 130만원을 곱해 산출한 수치다.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 3사에선 하루 평균 9만7000톤의 철강재를 출하하지 못하고 있다. 포스코의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화물연대 파업 이후 각각 1만톤, 1만7000톤 등 총 2만7000톤 물량(하루평균)의 철강재 출하가 지연됐다. 현대제철은 당진·인천·순천·울산공장 등 전국 공장에서 하루 평균 5만톤의 물량, 동국제강도 2만톤 규모의 철강재 출하가 멈춘 것으로 알려졌다.

모든 제철소의 육송 출하는 막힌 상황이다. 철강사들은 긴급재 운송을 위해 해상·철도 출하로 대응하고 있지만 운송량 대부분을 차지하는 육송 물량을 대체하기는 역부족이다. 철도와 해상 운송을 통해 평시 대비 10% 미만의 물량만 출하되고 있다.

문제는 정부가 전날(29일) 시멘트업계에 업무개시명령까지 발동했지만 화물연대가 강력하게 반발하며 오히려 파업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화물연대 내부에선 ‘정부의 명령서가 실효성이 없다’라는 말까지 나오면서 일종의 ‘버티기’를 이어가겠다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선 파업 기간에 긴급 배차 물량을 최대한 확보하거나 상품 조기 출하를 통해 야적·재고 물량도 비워놓았지만 출하가 막힌 채 일주일 이상 버티는 건 쉽지 않다고 보고 있다. 철강업계는 피해 최소화 ‘마지노선’을 총파업 시작 일주일째인 12월 1일로 잡고 있다. 파업이 장기화된다면 지난 6월, 8일간의 화물연대 파업 당시 철강업계 피해 규모인 1조15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제철소에서 생산 차질이 생길 가능성도 제기된다. 반출되지 못한 철강재가 공장에 쌓이면 공장 내부 공간 부족으로 공장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철강재는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연관된 산업이 다양한 만큼 출고 지연이 길어지면 산업 전반에 걸친 피해는 불가피하다. 업계 관계자는 “제품 창고도 점점 여유공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아무리 늦어도 이번주 내에 총파업이 해결되지 않으면 일부 공장 가동이 쉽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지난 6월 총파업 땐 포스코가 포항제철소 선재(코일 형태의 철강 제품) 1∼4공장, 냉연 2공장 가동을 중단했었다. 당시 매일 약 2만톤(t)의 재고가 쌓여 약 11만톤이 출하하지 못하고 창고나 제철소 내 도로에 쌓아뒀는데, 한계에 부딪혀 가동 중단이 불가피했던 것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