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통치기’는 열등감의 고백[정도언의 마음의 지도]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9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일러스트레이션 김남복 기자 knb@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김남복 기자 knb@donga.com
정도언 정신분석가·서울대 명예교수
정도언 정신분석가·서울대 명예교수
우리는 늘 다양한 방식으로 소리를 내며 살아갑니다. 음성, 행동, e메일, 사회관계망으로. 겉보기에 가장 강한 형태는 고함지르기일 겁니다. 고함지르기의 사촌 격으로는 호통치기가 있습니다.

누구나 이유 없이 고함을 지르거나 호통을 치지는 않습니다. 모든 행위에는 무의식에서 비롯되었거나 뚜렷하게 의식하는 목표가 있습니다. 개인의 행위가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일을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지난날에는 누가 고함을 지르거나 호통을 친다고 해도 파급 효과는 미미했습니다. 이제는 완전히 다릅니다. 손가락을 몇 번 움직이면 해당 동영상을 무제한 반복해서 보고 들을 수 있습니다. 호통치는 장면에 노출되면 마음이 복잡하고 몸은 혈압이 올라가고 맥박이 빨라집니다.

호통치는 사람에게는 당연히 이유가 있을 겁니다. 조직에 대한 충성, 동료들에게 인정받으려는 전략이거나 피를 끓게 하는 뜨거운 동지애의 발현일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겪고 있는 인생의 불운이 상대나 상대가 속한 집단에서 비롯됐다는 믿음이 있다면 호통치는 정도가 더욱 강해질 겁니다. 호통이 먹히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험한 말을 하는 일도 가리지 않습니다. 누가 부여했는지 모르겠으나 자신에게 아무 말이나 가리지 않고 마구 할 권한이 있다고 믿는 듯 보입니다. 감정에 치우쳐서 유치한 말로 호통을 치다가 결국 바닥이 드러납니다.

속이 빈, 부끄러움을 모르는 말이 이어집니다. 이성적 판단이 마비되어 하는 질문이 애매모호해서 상대는 묻는 의도가 무엇인지 알아듣지 못합니다. 자신의 소리를 낼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서 부여되었을 높은 직책과 소중한 기회가 그렇게 낭비됩니다. 목소리만 크고 메시지는 허공을 떠돕니다. 제대로 하는 말은 소통의 공간을 열지만 불필요하게 큰 소리는 공간을 닫습니다.

호통치기는 공격성의 표현입니다. 목소리가 커질수록 공격의 정도도 늘어납니다. 호통치기에 담긴 부정적 감정은 공격 대상은 물론이고 듣고 보는 사람들의 마음에도 오래 남습니다. 습관이 되면 장소와 상대를 묻지 않는, 강박적인 호통 행위로 나타납니다.

우리가 참으로 듣고 싶은 것은 가슴을 벌렁거리게 하는 큰소리가 아닌, 이성적 언어로 표현되는 설득력 있는 말입니다. 차분한 말은 차분한 풍경을, 거칠고 큰 소리는 황량한 풍경을 만들어 냅니다. 서로 다른 말이어도 조용하게 나누면 상대가 듣습니다. 큰소리에는 귀를 막고 마음을 닫습니다.

호통 소리가 높아질수록 과격하게 흥분한 그 사람의 이미지만 기억되고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잊힙니다. 스스로 통제가 안 되는, 감정을 조절 못 하는, 소통이 미숙한 사람으로 인상이 정해집니다. 호통치기로 승리감에 도취하기 전에 자신이 불특정 다수에게 읽히고 있다는 냉엄한 현실을 떠올려야 합니다.

열화같이 역정을 내다가도 더 늦기 전에 멈출 수 있어야 합니다. 자신이 느낀 분노의 뿌리를 찾아 사태를 파악하고 진정하고 멈춰야 합니다. 튀어나와 설치고 있는 ‘상어’를 달래서 마음 깊이 돌려보내야 합니다. 아군과 적군을 확실하게 구별하면서 상대를 곤경에 처하게 할 필요가 있어도 호통에만 치우쳐서 흥분하고 판을 깨면 후회할 일들이 생깁니다.

내키지 않아도 일단 한번 바꿔서 생각해 보세요. 누가 자신에게 호통을 치면 화가 나고 스트레스 반응을 겪을 겁니다. 반드시 신체 접촉이 있어야 폭력이 아닙니다. 호통과 거친 말은 전문가들이 보기에 폭력입니다. 어린아이가 부모의 고함에 자주 노출되면 뇌에 변화가 오고 크면서 정체성을 비롯한 성격 발달에 문제가 생긴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부모의 고함지르기가 아동 학대 행위라는 말입니다. 견딜힘이 있어도 어른이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호통은 청각과 시각을 과도하게 자극하면서 몸과 마음에 가하는 폭력입니다. 직접 겪지 않아도 그러한 광경을 보고 들으면 몸과 마음에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뇌는 부정적 감정에 더 예민하게, 더 빨리 반응합니다. 매일 근무하는 환경이 그렇다면 최악입니다. 만성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된 겁니다. 그러니 호통치는 사람은 많은 사람에게 잠재적인 가해자입니다.

도대체 왜 호통을 칠까요? 첫째, 평소에 고집하는 소통 방식일 겁니다. 그렇게 해야 상대가 자신의 말을 제대로 듣는다고 착각하지만 천만의 말씀입니다. 호통은 소통을 막을 뿐입니다. 호통치는 습관에서 스스로 벗어나지 못하면 자신의 건강도 해칩니다. 심하면 호통치다가 쓰러질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둘째, 자신이 유리한 입장을 차지해서 상대보다 우월함을 과시하려는 방책입니다. 그러나 열등감은 그런 식으로 보상받을 수 없습니다. 셋째, 상대에게 무례하게 굴어서 마음에 상처를 주고 모멸감을 느끼게 하려는 전략입니다. 그러나 의도가 읽히면 전략은 실패하고 자신의 이미지만 손상됩니다.

결론적으로, 호통치기는 의도한 바와 달리 자신이 지닌 좌절감과 열등감을 스스로 고백하는, 모순적인 행위입니다. 고치면 얻는 것이 많지만 한번 맛을 들이면 촉발 원인을 알려고 하지 않고 쉽게 포기하지 않습니다. 그러는 사이에 숨을 돌린 상대는 반박하고 공격할 궁리를 열심히 할 겁니다.

정도언 정신분석가·서울대 명예교수
#호통치기#열등감#고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