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 동안 세계 각국은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감세 경쟁에 나섰지만 한국은 대기업 증세를 하며 역주행했다. 이 여파로 한국의 법인세 최고세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3.5%포인트 높아졌다. 일본 대만 싱가포르 등 한국이 직접 상대하는 아시아 주요국보다 세율이 높아 기업 경쟁력이 떨어진 상태다. 단일세율 체계인 대다수 선진국과 달리 한국은 과표구간을 4단계로 나눠 대기업에 유독 높은 세 부담을 지우고 있다. 그 결과 삼성전자의 법인세 부담 수준은 미국 인텔의 3배, 애플의 2배에 이르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무한경쟁을 하는 자국 기업의 발목에 정부 스스로 모래주머니를 채운 것이다.
법인세는 한 나라의 기업 환경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잣대다. 적정 수준의 세율과 공평한 부과 체계 아래서 기업은 적극적인 투자로 경제 성장에 기여하지만 징벌적 과세구조에서는 이런 선순환을 기대할 수 없다. 과도한 세율 인상 시 기업은 고용을 줄이고 제품 가격을 올리며 대응하기 마련이다. 반면 법인세 최고세율을 1%포인트 내리면 설비투자가 3.6% 늘어난다는 분석도 있다.
법인세 인하로 세수 감소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세율 인하는 기업의 생산성을 높여 나라 살림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낸다. 특히 해외에 진출한 뒤 국내 유턴을 고민하고 있는 기업들에 법인세 인하는 어떤 대책보다 효과적인 유인책이 될 것이다. 새 정부 경제팀은 파격적인 기업 감세를 통해 ‘민간 주도 경제’의 첫발을 내딛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