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 고위 간부뿐만 아니라 차장검사와 부장검사급 중간 간부도 일부 인사가 이뤄졌다. 특히 법무부 감찰담당관과 대검 감찰1, 2과장 등 감찰 라인, 서울중앙지검의 2, 3, 4차장 등 주요 수사 지휘 라인도 이른바 ‘윤석열 사단’으로 교체됐다. 정권교체기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라고 하더라도 검찰총장 임명 전에 일부 간부급 인사를 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외부 인사가 포함된 인사위원회를 생략한 것도 마찬가지다.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에 취임한 직후 인사처럼 ‘윤석열 사단’을 통해 검찰 내부를 쥐락펴락하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을 낳을 수 있다.
조국 수사 이후 문재인 정부에서 2년 동안 한직을 나돌던 ‘윤석열 사단’이 요직에 재기용된 것에 대해 법무부는 ‘비정상화의 정상화’라는 취지로 설명한다. 수사 흠결이 아니라 수사 대상이 권력층이라는 이유만으로 인사에서 좌천된 검사들의 명예회복은 어느 정도 필요하다. 하지만 전임 장관들의 인사가 잘못됐다고 ‘내 편은 승진, 네 편은 좌천’식의 인사를 되풀이해서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없다. 검찰에는 검사만 2000여 명이 있다. 윤 대통령과의 근무 인연이 없는 대다수 검사들은 또 다른 편향 인사라고 보지 않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