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테라는 정말 다단계 사기였나…커지는 코인시장 거품론

  • 뉴스1
  • 입력 2022년 5월 14일 08시 17분


코멘트
© News1
© News1
한국인이 만든 암호화폐인 테라와 루나가 연일 폭락하면서 코인 시작의 거품론이 다시 커지고 있다.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속에 유동성 긴축이 일어나면서 극단적인 투매 현상이 나타난 것인데 한번 불신이 싹트자 너도 나도 코인을 내다 팔고 이를 받아줄 사람이 없자 끝없는 추락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루나는 전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상장폐지된 이후 업비트에서도 상장폐지가 결정됐다.

테라와 루나의 폭락은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진다. 테라와 루나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한때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테라는 알고리즘을 이용해 미국 달러와 1대1로 고정돼 있다. 테라는 이전 스테이블코인과 성격은 같지만 고정 가격을 유지하는 방식은 다르다. 이전 스테이블코인들은 고정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달러 채권이나 어음 등을 준비자산으로 보유하지만 테라는 준비금으로 암호화폐를 보유한다.

즉 루나를 활용해 1달러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다. 업계에서 테라가 주목을 받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1달러보다 1테라의 가치가 떨어지면 테라 보유자는 이 화폐의 개발회사인 테라폼랩스에 테라를 팔아 1달러어치의 루나를 받아 갈 수 있다.

일시적으로 1달러의 가치가 1테라보다 높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루나를 받아 간 투자자들은 이익을 보고 이들이 다시 시장에서 테라를 사들이면 테라의 가격도 올라가면서 1달러에 맞춰지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12일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차트가 표시되고 있다. /뉴스1 © News1
12일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차트가 표시되고 있다. /뉴스1 © News1
하지만 업계에선 별도 지불준비금 없이 자체 발행한 루나를 통해 가치를 유지하고 실물자산 담보도 없다는 점에서 폰지 사기 아니냐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럼에도 두 코인은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고 루나는 한때 시가총액이 50조 원에 달했고, 테라의 시가총액도 23조 원을 웃돌며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이 됐다.

그러나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위축되면서 테라의 가치가 1달러 밑으로 떨어진 뒤 가격이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루나의 가치도 급격하게 떨어졌다. 현재 테라의 시가총액은 6조 원 수준에 불과한 상황이다.

문제는 암호화폐 시장의 신뢰가 사실상 깨지면서 연쇄 폭락장이 연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도 하락세를 피하지 못하는 등 위기감이 증폭되는 모양새다.

아울러 루나와 테라 연쇄 폭락 쇼크가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과 금융시장까지 뒤흔들면서 지난 12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선 하루 만에 시가총액 2000억 달러(약258조원)가 증발하기도 했다.

그렇지 않아도 글로벌 유동성 긴축으로 암호화폐 시장의 거품이 빠지고 있는 가운데 시장의 신뢰마저 저버리는 사건마저 터지면서 가상자산 전체 시장이 흔들거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실제로 외신들은 적지 않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CNN은 이번 사건을 두고 “가상화폐 시장 리먼 브라더스의 순간”이라고 평했고 영국 BBC도 경제학자인 프랜시스 코폴라의 발언을 인용, “가상화폐 시장의 거품 붕괴가 시작된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가상자산 시장은 앞으로도 계속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외국에서는 이미 규제를 시사하는 발언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12일(현지시간) 미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 스테이블 코인 규제 필요성을 주장했다.

옐런 장관은 “스테이블 코인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뱅크런과 관련해 수백 년간 알려진 것과 같은 종류의 위험이 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물론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스테이블 코인에 한정적이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도 어느 정도 충격을 소화해 더 이상 악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다만, 이번 사건으로 대장주인 비트코인마저 휘청이는 등 유동성에 대한 위험성을 확인한 만큼 가상자산의 거품이 빠지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