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라 연합회는 디지털자산산업과 관련한 △연구·사업개발 지원 △정부 정책용역 △학술교류·산학협력 촉진 △국제협력 △교육·자격증 △평가·보증 △홍보·미디어 사업 등을 전개한다.
송인규 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진정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은 디지털 자산으로 비즈니스하는 것”이라며 “연합회는 첫 일성으로 암호화폐, 분산금융(DeFi), 분산자율조직(DAO), 대체불가토큰(NFT), 디지털영토(메타버스) 등을 아우르는 디지털경제의 장관급 전담부처를 설치할 것을 새 정부에 촉구한다”고 밝혔다.
연합회 최정무 상임부회장은 “차기 정부도 블록체인 발전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한국디지털자산산업연합회가 정책 제안에 적극 나설 방침”이라며 “블록체인 생태계와 거래소, 가상자산 등 3대 영역이 세계시장을 이끌려면 국가 주도의 과감한 행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디지털자산산업연합회는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한국블록체인협단체연합회 이한영 회장과 정대철 총재, 이원욱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장을 중심으로 발족시킨 블록체인산업위원회를 사단법인으로 격상시킨 단체다. 이 회장과 정 총재는 연합회에 이사장과 명예총재다.
이한영 이사장은 “디지털자산에 대한 정부 당국과 업계 간의 상호 인식 차이, 법률 및 규제 적용 과정에서의 이해상충 등 규제와 산업계 현장 사이에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면서 “한국디지털자산산업연합회가 규제 당국의 입장과 블록체인 업계의 요구사항을 슬기롭게 융합해 디지털 리더 국가로 우뚝 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일 기자 moragoheyaj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