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독률 조사, 신문 절반 넘게 구독하는 영업장 빠져 문제”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정부광고 지표 간담회’ 비판 쏟아져

“사무실, 상점 등 신문을 절반 이상 구독하는 영업장을 조사하지 않고 가구만 방문해 조사한 건 언어도단이다.”(A경제신문 관계자)

“본보보다 유료부수가 적은 신문이 열독률은 더 높게 나와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경남지역 B신문 관계자)

정부가 올해 도입하기로 한 열독률 중심의 정부광고 집행 기준에 대해 국내 언론사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열독률은 일정 기간(보통 최근 일주일) 읽은 특정 매체의 비율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7일 연 ‘정부광고 지표 활용 관련 의견수렴 간담회’에서 각종 비판이 쏟아졌다. 간담회는 문체부와 언론재단이 열독률 등을 조사한 ‘2021 신문잡지 이용자 조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열렸는데 △영업장을 제외했고 △대다수 지역 매체가 빠진 데다 △인구수와 표본 비율이 비례하지 않으며 △무가지 배포에 따른 시장 교란 행위가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A경제신문 관계자는 영업장을 방문해 조사하지 않은 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영업장을 직접 가 조사하면 영업장에서 읽었다는 비율이 더 올라갈 것이다. 영업장 구독 비율이 높은 본보는 열독률 수치가 너무 낮게 나와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전문신문협회 관계자는 “산업 전문지는 기업 현장에 배포되기 때문에 가구 조사를 통해서는 파악하기 어렵다. 매체 특성에 맞게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발행이 확인된 1676개 매체 중 열독률이 조사된 매체는 302개에 불과해 대부분의 지역 매체가 누락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경기 지역 C신문 관계자는 “경기 지역 신문은 강원도에서 발행하지 않기 때문에 전국을 대상으로 열독률을 조사하면 지역 신문은 불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경기 지역 D신문 관계자는 “경기도 인구가 제일 많은데 표본 비율은 (17개 시도 중) 가장 적어 역차별을 받았다”고 했다.

무가지(무료 신문) 배포 문제도 지적됐다. 이번 열독률 조사에서 무가지로 신문을 읽었다는 답변이 나왔는데, 이는 일부 신문사가 지난해 10월 조사 기간 중 무가지를 배포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됐다. 열독률을 높이려고 연중 무가지를 배포할 수도 있어 무가지로 인한 신문시장 교란이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정부의 광고 집행 기준은 신문 산업에 큰 영향을 주지만 신문사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는 질타도 나왔다. 석간 E신문 관계자는 “사전에 열독률 조사 방식에 대해 현장의 의견을 듣지 않았다. 속전속결로 조사해 일각에선 새 정부 출범 전에 대못 박기 식으로 언론 정책을 추진하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이 일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체부와 언론재단은 기존 열독률 조사 방식에 맞춰 조사했다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한 언론학자는 “이번 열독률 조사는 단순 조사가 아니라 연간 2400여억 원에 이르는 정부 인쇄 매체 광고를 집행하는 기준으로 쓰이기에 보다 엄밀한 기준과 조사 방법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성택 기자 neone@donga.com
#열독률 조사#신문구독#신문구독 영업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