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후보들의 상대 후보 공약 베끼기 행태가 갈수록 노골화하고 있다. 상대방 공약에 ‘플러스알파(+α)’를 보태기도 한다. 밑줄 그으며 따져봐야 원래 누구 것이었는지 연원을 알 수 있을 정도로 붕어빵도 많다. 이는 가상자산 비과세 기준 상향처럼 2030 젊은 세대 등 특정 세대나 특정 이해집단을 겨냥한 공약 등에서 두드러진다. 주로 현금을 직접 주거나 제도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것들이다.
병사 월급을 200만 원까지 올리겠다는 올 초 윤 후보의 공약도 마찬가지다. 2027년까지 병사 월급을 200만 원까지 인상하겠다는 이 후보의 공약을 윤 후보가 SNS 한 줄 공약으로 따라간 사례다. 윤 후보가 인적공제 등 혜택을 대폭 확대해 ‘13월의 월급’이라 불리는 연말정산 환급분을 늘려주겠다고 하자 이 후보도 곧바로 청년 특별소득공제 등 공제 확대와 간소화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이 후보가 장년수당(연 120만 원), 문화예술인 기본소득(연 100만 원) 등 현금 공약을 내놓자 윤 후보도 산후우울증 치료를 위해 임신 시 60만 원 바우처 지급 등을 약속했다.
유력 후보들의 공약 베끼기, 물 타기, 숫자 지르기 등은 낯 뜨거울 정도다. 마치 누구 낯이 더 두꺼운지 경쟁이라도 하는것 같다. 지지율 올리기에만 급급할 뿐 정밀한 재원 대책이나 현실 타당성 등은 따질 때가 아니라는 듯한 태도다. 이번처럼 대선 후보들이 기본적인 매니페스토(구체적인 예산과 실행 일정) 검증조차 무시한 적이 있었던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