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전 수석은 13일 YTN에 출연해 송 대표 발언에 대해 “지나친 말씀”이라며 “검찰의 탄압과 문재인 정부의 탄압을 구분하지 못할 정도라면 더 심각한 문제다. 대선을 치르는 과정에서 ‘대표 리스크’라는 말이 안 나오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스갯소리로 ‘송 대표가 아니면 (이 후보 지지율이) 40% 돌파했을 것’이란 말도 있는데, 저는 단순한 농담이 아니라고 본다”면서 “지금 이 후보의 경우 대통령 지지율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지층을 결집하는 데 조그만 바리케이드라도 치워야 하는데 그걸 쌓는 순간 40% 돌파가 어렵다는 것이 산술적으로도 그렇고 현실적으로도 분명한 진단”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를 지지하든, 지지하지 않는 사람이든 최소한 보복이나 탄압을 하는 과거 정권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할 거다. 그래서 민주당, 여당 대표 입에서 (그런 발언이) 나왔다는 것 자체가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적어도 더불어민주당은 차별화 같은 선거전략 때문에 문재인 정부의 성취까지를 사실과 다르게 평가해서는 안 된다”며 “민주당은 모든 분야에서 문재인 정부의 성취와 과오를 공정하게 인정하고, 그 바탕 위에서 새로운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통령국민소통수석비서관을 지낸 윤영찬 의원은 “내부를 분열시키는 이 같은 발언이 선거에 무슨 도움이 되는지 잘 모르겠다”고 했고, 최고위원 출신의 신동근 의원은 “송 대표의 발언은 당의 단결을 저해하는 뜨악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낙연 캠프 출신인 김종민 의원도 “시간을 두고 반복되는 실언은 실수가 아니다”라며 “문재인 정부와 이재명 후보를 분리해야 표가 된다는 잘못된 판단, 민주당을 친문 비문으로 가르는 분열적 사고를 버려야 한다”고 비판했다.
논란이 커지자 이 후보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아마 송 대표가 검찰의 수사권 남용 얘기를 하다가 약간 좀 지나친 것 같다.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한 말씀이 아니니 이해해주면 좋겠다”며 진화에 나섰다.
김소영 동아닷컴 기자 sykim4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