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미용 등 교수 시연만 지켜봐
졸업생들 경험 못 쌓은 채 사회로
“이 길이 맞나…” 휴학-자퇴생 늘어

경기도의 한 전문대 유리세라믹디자인과에 ‘20학번’으로 입학한 A 씨(22)는 올 2월 졸업을 앞두고 고민이 커졌다. A 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탓에 2년 동안 학교에 제대로 등교해 본 적이 없다. 수업은 거의 모두 비대면으로 진행됐고, 학교에는 6일 정도 출석한 게 전부다. 시험도, 실습도 모두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A 씨는 “이 분야에서 일하고 싶어 전공을 선택했는데, 비대면 수업만 이어지다 보니 ‘이 길로 가는 게 맞나’라는 고민이 든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가 3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전문대 학생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등교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탓에 전문대의 강점인 실습교육 시간이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전문대 지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0년 사립전문대 전체 학생 43만5056명 중 4주 이상 현장실습을 이수한 학생은 전체의 6.7%(2만9172명)에 불과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학교를 쉬거나 그만두는 학생도 늘었다. 김춘호 영진전문대 조리제과제빵과 교수는 “2020년에 실습과목을 비대면으로 진행하니 학생 참여도와 강의 만족도가 현저히 떨어졌고, 휴학하겠다는 학생도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유채연 기자 yc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