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신속통합기획을 통한 민간재개발 사업지로 선정된 종로구 창신·숭인동 일대 등 도시재생지역 4곳과 용산구 청파2구역, 송파구 마천5구역 등 21곳에 대해 올해 초 자치구를 통해 정비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한다. 이후 하반기 내 신속통합기획을 통한 정비계획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구역 지정에 들어갈 예정이다.
서울시내 주요 재건축단지 18곳에 대해서도 신속통합기획을 통한 도시정비사업에 들어간다. 여의도 한양, 시범, 대치 미도 아파트 등 7개 단지에 대해 신속통합기획에 착수한 데 이어 최근 신청을 마친 압구정2·3·5구역, 신반포 2차, 서초진흥 등 5곳에 대해서도 올초 신속통합기획에 착수한다.
신속통합기획은 오세훈 시장이 내세운 ‘스피드 주택공급’ 정책의 핵심으로 민간이 정비사업을 주도하되, 서울시가 초기 단계부터 함께 계획안을 짜 사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서울시가 빠른 사업을 돕는 대신 민간의 기부채납, 임대주택 등으로 공공성을 확보하는 식이다.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신속통합기획이 적용되면 통상 5년 정도 걸리는 정비계획 수립 등 도시계획결정 기간이 2년으로 단축되고, 사업시행 인가 심의기간도 기존 1년6개월에서 절반 가까이 줄어든다. 주거지역 35층, 한강변 첫주동 15층 규제도 유연하게 적용받는다.
사업을 빠르게 추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랜 기간 각종 규제에 발목잡혀 사업에 속도를 내지 못했던 노후 재건축·재개발 구역에서는 줄줄이 신속통합기획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신속통합기획 대상지들의 사업 추진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내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로 주택공급도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올해 아파트 3만7000가구 등 6만4000가구, 내년에는 아파트 5만9000가구 등 8만8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2030년까지 총 80만호를 공급한다는 목표다.
김 실장은 “지속적으로 아파트를 공급하고 있다는 흔들리지 않는 정책기조가 중요하다”며 “2030년까지 80만호 주택 공급을 달성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