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는 14일 페이스북에 “‘동물보호소’라는 명칭을 무분별하게 사용해 사실상 반려동물을 사고파는 신종 펫샵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면서 운을 뗐다.
그는 “양육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사정을 이용, 파양을 적극적으로 권하고 그 과정에서 많게는 수천만 원까지 비용을 받아낸다고 한다”며 “보호소라는 이름을 믿고 구조한 유기 동물을 데려온 이들에게도 돈을 받고 다시 되팔기까지 한다”고 꼬집었다.
이 후보는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 △유기동물 복지·입양 목적의 ‘동물보호소’와 일반 반려동물 판매업 구분 △‘동물보호소’ 동일 또는 유사 명칭 사용 금지 △동물보호법 국회 통과 △영리 목적의 파양 및 입양 중개 금지 등을 언급했다.
이 후보는 “이미 삶의 동반자인 반려동물을 이윤 추구 수단으로 변질시키는 신종 펫샵의 비윤리적인 행위를 반드시 근절하겠다”고 다짐했다.
김혜린 동아닷컴 기자 sinnala8@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