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습 공무원까지 투입중인데…늘어나는 재택치료 대응 ‘비상’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0월 25일 19시 29분


코멘트
사진 뉴스1
사진 뉴스1
최근 일주일 간 국내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는 하루 평균 1378명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11월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하루 확진자 수가 2만5000명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정부는 25일 열린 위드 코로나 공청회에서 확진자 급증의 ‘해답’으로 재택치료 확대를 제시했다. 그동안 무증상 및 경증환자를 수용하던 생활치료센터는 단계적으로 축소한다. 늘어날 재택치료 환자를 감당할 시스템 구축과 운영이 위드 코로나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 이제 확진 판정 받으면 재택치료가 원칙


현재 재택치료 대상은 70세 미만이면서 당뇨, 만성 폐질환 등 기저질환이 없는 무증상 및 경증 환자다. 지금은 이 기준에 부합해도 본인이 희망할 때만 재택치료를 받고, 원치 않으면 생활치료센터나 병원으로 이송된다. 25일 현재 재택치료 중인 코로나19 환자가 2124명으로 전체 격리 환자(2만5868명)의 8%에 그치는 이유다.

방역당국은 25일 위드 코로나 공청회에서 재택치료를 선택이 아닌 ‘원칙’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환자가 기숙사나 고시원에 사는 등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전부 집에서 치료하겠다는 것. 현재 90곳, 약 2만 병상 규모로 운영 중인 생활치료센터는 점차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재택치료 확대를 위해선 의료지원 시스템부터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재택 환자의 건강 모니터링과 약품 및 의료기기 전달, 격리 감시까지 맡고 있는 보건소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경기지역의 한 보건소 감염병대응팀장은 “지금도 수습 공무원과 구청 인력을 끌어 모아 운영 중”이라며 “재택 환자가 더 늘어나는 상황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고 호소했다. 박건희 경기도 감염병관리지원단장은 이날 공청회에서 “보건소 인력 확충이 없다면 일상 회복도 없다”고 했다. 이 때문에 단순한 물품 배달 정도는 ‘퀵서비스’ 등 민간인력을 활용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 ‘재택치료 중 사망’ 막을 대책 필요


방역당국은 앞으로 고위험군 환자로까지 재택치료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집에서 사망하는 환자가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고령 환자는 본인이 증상을 느끼지 못해도 CT(컴퓨터 단층 촬영)를 찍어 보면 폐렴이 진행된 경우가 많다”며 “60세 이상은 의료시설에서 경과를 관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21일 재택치료 중 사망한 서울 서대문구의 68세 남성도 숨지기 전날까지 특별한 증상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병원에 갔어야 할 환자에게 재택치료를 시킨 게 궁극적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도 “지금은 재택치료 확대보다 추가 위중증 병상 확보에 힘을 쏟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향후 먹는 치료제가 도입될 경우 정부는 코로나19 환자도 독감 환자와 마찬가지로 동네 병원에서 진찰받고 약을 처방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앞서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20일 국회에서 “코로나19 먹는 치료제는 지금 도입 예정 물량의 10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가 도입하려는 먹는 치료제 물량이 4만 명분인 만큼 40만 명분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이지운기자 easy@donga.com
전혜진 인턴기자 이화여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