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러스 연구 기초 취약해 한계… 대대적 투자 필요”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0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인터뷰

“한국에서 바이러스 기초연구를 하는 사람이 많았다면 국내 협력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할 수 있었겠죠. 하지만 한국의 대표 연구기관들도 기초연구에선 해외와 30∼40년의 격차가 납니다.”

이달 6일 대전 유성구 한국화학연구원에서 만난 이미혜 화학연 원장(사진)은 “한국과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협력 추진 과정에서 백신과 치료제 개발만큼은 기초연구 역량 없이는 절대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걸 새삼 다시 깨달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원장은 지난달 21일 미국 뉴욕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에 참여했다. 이 원장은 이 자리에서 화학연과 미국 로체스터대 백신생물면역학센터,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와 코로나19 백신 공동 연구개발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에 따라 화학연은 로체스터대와 몸속에서의 백신 작용 원리와 이상 반응을, 스크립스연구소와는 세포 감염 경로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화학연은 1990년부터 의약바이오본부를 설립하고 약물 합성 연구를 진행했다.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이후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CEVI)을 만들어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 연구도 진행했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가 나자 코로나바이러스의 합성항원 백신 후보물질도 발굴해 HK이노엔에 기술을 이전하기도 했다. 이 물질은 올해 7월 임상 1상에 들어갔다.

이를 두고 화학연이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을 개발할 정도의 연구 역량을 충분히 갖췄다는 평가도 있지만 이 원장은 “국내 바이러스 기초연구 역량이 부족해 백신 후보군을 추가로 발굴하는 데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고 했다. 그는 “로체스터대의 경우 백신 후보물질이 몸에 들어갔을 때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그 요인이 무엇인지 단백질 분자 수준에서 분석이 가능하다”며 “한국이 이 분야에 매우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백신 개발에는 통상 5∼10년이 걸린다. CEVI 운영에서 경험을 얻은 이 원장도 “백신 연구는 1, 2년으로는 의미가 없고 5년 이상 장기적이고 큰 규모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에서도 관련한 국제협력 사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R&D)에는 4376억 원을, 내년에는 그보다 11.5% 늘어난 4881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하지만 정작 이를 활용할 인력과 설비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오랫동안 현장을 지켜본 이 원장의 설명이다. 이 원장은 “화학연만 해도 백신 연구팀 핵심 인력이 7명에 불과하고 지난 2년간 너무 많은 일을 하면서 지쳐 있다”며 “예산이 늘어나도 인력을 비례해서 늘릴 수 없는 출연연구기관의 현실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했다”고 말했다.

2014년에 설치한 232m² 규모의 생물안전 3등급 시설(BL3)도 이미 포화 상태다. BL3는 위험한 감염병 등을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설비다. 화학연에서는 감염병 연구에 30여 명이 참여하고 있지만 BL3 시설은 초등학교 교실 한 개 규모로 작다 보니 다양한 전임상 동물 실험은 엄두도 내지 못한다. 이 원장은 “당분간은 역량이 부족한 기초연구 부문은 눈을 돌려 해외의 유능한 파트너와 손잡고 연구를 이어가야 하는 상황”이라며 “국내 연구 인력도 전반적으로 충분치 않아 앞으로 학생들을 많이 길러내야 하는 것도 과제”라고 했다.


대전=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국내 바이러스 연구#기초 취약#이미혜#한국화학연구원 원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