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없이 5개월 작전…‘함정 집단감염’에 청해부대 조기 귀국

  • 뉴스1
  • 입력 2021년 7월 18일 13시 03분


코멘트
해군 구축함 ‘문무대왕함’ <자료사진> © 뉴스1
해군 구축함 ‘문무대왕함’ <자료사진> © 뉴스1
해외파병 임무를 수행 중이던 해군 구축함 ‘문무대왕함’의 코로나19 집단발병 우려가 현실화됐다. 18일 현재까지 이 함선에 타고 있는 청해부대 제34진 장병 300여명 가운데 최소 68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다.

그러나 아직 함내 장병 가운데 3분의1에 해당하는 인원들에 대한 코로나19 진단검사(PCR) 검사 결과만 공개된 상황이어서 추후 나머지 검사결과에선 확진자는 더 크게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이에 우리 군 당국은 장병 전원에 대한 PCR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이들 모두 국내로 조기 귀국시키기 위한 수송기 2대를 이날 오후 ‘문무대왕함’의 작전지역 인접국가로 보내기로 했다.

청해부대는 아프리카 소말리아 인근 아덴만과 중동 오만만 일대에서 우리 선박 등의 통항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해외파병부대다. 이 부대 34진은 올 2월8일 ‘문무대왕함’을 타고 작전지역으로 떠났다.

그러나 이 시기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수급계획 자체가 수립되지 않았던 상황이어서 부대원 전원은 코로나19 백신을 맞지 못한 채 임무에 투입돼야 했다.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건 2월26일 만 65세 미만 요양병원·시설 입소자 및 종사자들부터였고, 군에선 3월3일 16개 군병원 의료진을 시작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뤄졌다.

청해부대 훈련 (해군 제공) 2019.7.26/뉴스1
청해부대 훈련 (해군 제공) 2019.7.26/뉴스1
청해부대는 다른 해외파병부대와 달리 식료품 등 일부 물자보급을 위해 기항하는 경우를 제외하곤 임무수행 기간 대부분을 바다 위에서 보낸다. 이 때문에 군 당국은 “청해부대원들의 코로나19 발병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봤었지만, 그와 같은 기대는 5개월 만에 깨지고 말았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청해부대원들 중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보고된 건 지난 15일이다. 당시 기침 등 감기 증상을 호소하는 부대원 40여명 중 6명에 대해 작전지역 인접국가 의료기관를 통해 코로나19 진단검사(PCR)를 실시한 결과, 모두 ‘양성’으로 확인됐다.

당초 이들 40여명에 대해 ‘문무대왕함’내에 비치된 코로나19 신속 검사키트로 간이검사를 실시했을 땐 모두 ‘음성’ 반응을 보였었지만, 그 결과가 뒤집힌 것이다.

이 과정에서 14일 오후엔 폐렴증세를 보이던 간부 1명이 현지병원으로 긴급 후송되기도 했다. 이 간부도 이후 실시한 PCR에서 코로나19에 확진됐다.

군 당국은 문무대왕함이 지난달 28일~이달 1일 물자 보급 등을 위해 작전지역 인접국가에 기항한 뒤 코로나19 확진자 및 의심증상자들이 잇달아 발생한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기항시 물자 적재 등을 할 때 담당 병력은 방역복을 착용한다”고 설명했지만, 현재로선 당시 물자 적재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함내로 유입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문무대왕함이 보급을 마치고 출항한 다음날인 이달 2일 부대원 가운데 감기 증상자 1명이 처음 보고됐고, 이후 함내에서 유사 증상을 호소하는 인원들이 늘기 시작했다.

첫 감기 증상자 발생 당시 문무대왕함은 이미 작전지역을 향해 가고 있던 중이어서 일단 감기약만 처방하는 데 그쳤었지만, 불과 10여일 만에 코로나19 확진자와 의심환자가 수십명대로 늘면서 현재 문무대왕함은 작전 수행을 사실상 중단한 상태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이번에도 군 당국의 안일한 대응이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를 불러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최초 감기 증상자 발생 때부터 PCR 등을 통해 대응했어야 하는데 그 시기를 놓쳤다는 것이다.

특히 해외파병 임무를 수행 중인 이들 장병들이 아직도 코로나19 백신을 맞지 못했다는 사실을 두고는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서욱 국방부 장관(왼쪽)이 지난 4월24일 경기도 평택 소재 해군 제2함대 사령부의 코로나19 방역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2021.4.24/뉴스1 © News1
서욱 국방부 장관(왼쪽)이 지난 4월24일 경기도 평택 소재 해군 제2함대 사령부의 코로나19 방역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2021.4.24/뉴스1 © News1
이에 대해 군 당국은 청해부대의 임무수행 여건과 군함의 특수성 등을 감안할 때 “부대원이 출항한 이후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설명하고 있는 상황. 군 관계자는 “임무수행 중인 함상에서 백신을 접종했다가 부작용이 발생하면 대응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말했다.

그러나 다른 일각에선 “적어도 기항지에서 외부인과 접촉하며 물자보급·적재 등의 임무를 담당하는 병력만큼은 백신을 맞혔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문무대왕함’과 같은 군함은 함내에 밀폐된 공간이 많은 데다 환기시설이 하나의 통로로 순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코로나19와 같은 감염증 환자가 발생할 경우 승조원들 사이에 바이러스가 순식간에 퍼질 위험이 크다.

군함이 코로나19 집단발병에 취약하단 사실은 국내에서도 지난 4월 해군 상륙함 ‘고준봉함’ 사례(승조원 84명 중 38명 감염)을 통해 이미 확인됐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당시 “해군은 함정·잠수함처럼 한정된 공간에서 다수 인원이 밀집해 일정기간 근무하는 특성이 있다”며 철저한 방역지침 준수와 취약점 보완을 지시했었으나, ‘문무대왕함’은 그 뒤에도 계속 ‘방역 사각지대’로 남아 있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