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16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사우나 등에서 발생한 집단발생 사례 분석을 통해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드리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울산시에서는 지난 7일 지표환자 발생 이후 접촉자 추적 관리를 통해 총 53명이 확진됐다. 경남 진주시 목욕탕2 관련 사례는 9일 지표환자 확진 이후 누적 176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해당 시설들은 지역사회 주거지역에 위치한 목욕탕으로 주민들이 정기회원으로 등록해 주 2~3회 목욕탕과 헬스장을 이용했고, 회원 간 모임의 장소 기능도 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감기·몸살 등 코로나19 증상이 있음에도 목욕탕에서 이른바 ‘몸을 풀기 위해’ 빈번하게 방문하면서 지속적인 노출이 발생했고, Δ환기 불충분한 환경 Δ시설 내 공용공간(탈의실, 사우나, 헬스장 등) 장시간 체류 Δ마스크 지속 착용이 어려운 여건 Δ정기회원 간 빈번한 접촉·모임 등을 통해 확산이 일어났다고 봤다.
이상원 단장은 “국민들께서는 감기·몸살 증상이 있는 경우에 목욕탕이 아니라 진료와 검사를 받아주셔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 단장은 “사우나와 헬스장과 같은 실내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실 경우에 타인과의 대화는 자제하고, 해당 시설 본래 목적에 맞는 꼭 필요한 활동만을 하면서 체류 시간은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목욕탕 관리자께서도 감기·몸살 등 의심 증상이 있으신 분들이 출입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시설 내에서 음식 섭취를 않게 하거나 주기적인 환기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서울=뉴스1)
[김순덕의 도발]미안하지만 文보유국과 비교되는 미얀마
오세훈 ‘박원순 장례식 책임자’ 문책인사에…시의회, 이례적 “유감”
[단독]檢, 공수처 ‘허위 보도자료’ 의혹 본격 수사
이성윤, 기소위기에 ‘수심위’ 카드…수원고검 “신속 소집 요청” 맞불
美 백신 확보 한시가 급한데 외교노선은 친중?
[단독]경제 5단체 “이재용 사면을” 내주 정부에 공동건의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