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6일부터 실수로 돈을 잘못 송금했더라도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쉽게 돌려받을 수 있는 ‘착오송금 반환 지원’ 제도가 시행되더라도 전액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실수로 송금한 소비자가 반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예보는 착오송금 반환 과정에서 송금인이 내야 할 구체적인 비용을 산출하고 있다. 착오송금 반환 지원 제도는 개인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소비자를 대신해 예보가 잘못 보낸 돈을 받아주는 제도다. 현재는 송금인이 은행이 반환을 요청하고 돈을 받은 사람이 동의하거나 직접 송금해줘야 되돌려 받을 수 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발행하는 비용이다. 지난달 입법 예고된 관련법 개정안에 따르면 착오송금 사실과 계좌 등을 안내하기 위한 회당 5000~6000원의 통신·우편료와 반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건비 등을 송금인이 부담해야 한다. 다만 법원 지급명령 신청 비용은 돈을 받은 사람이 낼 방침이다. 예보가 ‘금융회사 기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송금인 개인의 실수를 금융사 재원으로 모두 보전해주는 것이 불합리하다는 지적에 따른 조치다.
예보 관계자는 “최근 착오송금 건수가 8만 건을 넘어서 규모의 경제가 가능해진 만큼 송금인 부담 비용은 1만 원 이내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하지만 금융권은 최근 예보가 착오송금 반환 지원 인력을 크게 늘려 송금인 비용이 훨씬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오히려 고액을 잘못 보낸 송금자보다 소액 송금자의 부담이 더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법인 등 고액 송금자는 변호사를 선임하는 대신 비용을 물고 제도를 이용할 것”이라며 “반면 1, 2만 원 받겠다고 제도를 이용하는 소액 송금자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동혁기자 hack@donga.com
[김순덕의 도발]미안하지만 文보유국과 비교되는 미얀마
“이재용, 정부에 화이자 회장 연결해줘 협상 실마리”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공감의 힘[벗드갈의 한국 블로그]
오세훈 ‘박원순 장례식 책임자’ 문책인사에…시의회, 이례적 “유감”
오죽하면 1249쪽을 통째로 넘겼을까[오늘과 내일/김승련]
[단독]檢, 공수처 ‘허위 보도자료’ 의혹 본격 수사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