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슨, 기자 시절 자극적 표현으로 수차례 논란

가디언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존슨 총리는 런던 남동부에 있는 세지힐 학교에서 화상으로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나는 오랜 시간 기자로 일했고, 지금도 여전히 글을 쓴다”고 발언했다.
그는 “물론 기자는 정말 훌륭하고, 전문적인 직업이다. 하지만 어느 시점이 되면 늘 누군가를 비난하고 공격하는 자신을 발견하며 어려움을 겪게 된다”고 했다.
그는 언론의 그런 속성 때문에 “그렇다면 내가 한 번 시도해보자는 생각이었다”는 마음으로 정계에 입문했다고 덧붙였다.
존슨 총리의 이같은 발언은 언론계는 물론 야당에서도 반발을 야기했다.
제1 야당인 노동당은 “기자가 늘 누군가를 비판한다는 건 존슨 총리에게나 해당하는 말”이라며 “언론에 대한 이같은 공격은 사회적 불신과 분열을 부추길 뿐이다”고 비난했다.
총리실은 다급하게 진화에 나섰다.
총리 공보실은 “존슨 총리는 언론인 여러분이 끊임없이 도전하며 우리 정부를 더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고자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존슨 총리는 기자시절 과장되고 자극적인 기사로 이름을 알렸다.
그는 1987년 일간 더타임스에서 기자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나 기사의 인용 부분을 조작하며 해고됐다.
이후 1998년 텔레그래프에서는 동성애자 남성을 ‘탱크톱을 입은 항문성애자’라고 묘사하거나, 2002년 아프리카 사람들을 향해서도 인종 차별적인 어휘를 사용해 논란이 됐다. 2018년에는 이슬람 전통 의상인 부르카를 입은 여성을 ‘걸어다니는 우체통’ ‘은행 강도’라고 말하기도 했다.
[서울=뉴시스]
“박범계 장관님 살려주십시오” 평검사가 올린 풍자글
“땅 샀는데 갑자기 신도시 지정된 것” LH투기 옹호한 변창흠
[이기홍 칼럼]코로나보다 집요한 정권 포퓰리즘… 퇴치 백신 나올까
춘천 간 이낙연 대표, 얼굴에 계란 테러 봉변[청계천 옆 사진관]
정상명-안대희-박영수… ‘윤석열의 사람들’ 관심
노무현 김근태 토론에 비친 巨與의 폭주와 무능[광화문에서/최우열]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