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구치소 1203명 감염…“신규 입소자→과밀·공동생활 확산”

  • 뉴시스
  • 입력 2021년 1월 20일 18시 04분


코멘트

방대본-법무부 합동조사단 역학조사 중간결과
"1월5일 전수검사 이후 100명 미만…진정세"
구치소 내 두차례 유행…1차 직원, 2차 수용자
직원-수용자 유행간 접점無·바이러스 유사성↓
신규 입소시 1주차 독거실, 2주차 혼거실 수용
확산 원인…정원 초과 수용·공동생활·접견 지목

1200여명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서울동부구치소 집단감염 원인으로 종사자가 아닌 신규 입소자를 통한 유입 전파가 지목됐다.

구치소 내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12월 초 직원을 중심으로 1차 유행이 있고 12월 중순 이후 수용자 중심 2차 유행이 있었는데 이들 사이 접점이 없고 바이러스의 유전적 특성 등으로 볼 때 두 유행 유입 경로가 서로 다르다고 방역당국은 판단했다.

당국은 신규 입소자를 통한 유입이 수용자가 과도하게 밀집한 환경과 만나 대규모 감염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신규 수용자 14일간 격리, 이동 전 일제검사 등을 시행하기로 했다.

서울동부구치소 내 누적 확진자 1203명…전수검사만 10차례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0일 법무부와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실시한 서울동부구치소 내 코로나19 집단발생 역학조사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동부구치소에서 지난해 11월28일 직원 확진자가 처음 발생한 이후 이날까지 구치소 내 확진자는 1203명이며 이중 사망자는 2명이다. 단일 사례로로는 전국에서 5214명, 대구에서 4512명이 확진된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 다음이고 2차 유행을 주도했던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관련(1173명)보다 많은 규모다.

발병률은 직원이 4.9%(552명 중 27명)였고 수용자가 42.9%(2738명 중 1176명)에 달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노출 시기는 지난해 11월13일부터 이달 9일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당국은 최초 환자를 인지한 지난해 11월27일과 이후 1월14일까지 일제검사 등 개별 검사가 이뤄졌고 전수검사는 지난해 4회, 올해 6회 등 총 10차례 진행됐다. 직원 대상 3474건, 수용자 대상 1만2074건 등 1만5548건의 검사가 시행됐다.

지표환자인 최초 확진 환자가 발생한 시점은 지난해 11월27일 검사 결과가 나온 28일이며 수용자 중 최초 확진자는 일제검사가 이뤄진 12월14일 확인됐다. 일제검사 등에서 직원 24명, 수용자 77명 등 101명이 확진됐고 10차례 전수검사에선 직원 3명 외에 수용자 1099명 등 1102명이 확진됐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총 10차례 전수검사를 통해 대략 1만5000건 이상의 검사 시행됐다”며 “6차 전수검사가 있었던 1월5일부터 100명 미만으로 추가 환자들이 확인돼 지금은 진정세에 접어들었다”고 위험도를 평가했다.

서울동부구치소 내 2차례 유행…수용자 중심 2차 유행은 신규 입소자 유입 판단
방역당국은 구치소 내에서 2차례 유행이 있었다고 보고 있다. 지표환자인 직원 관련 직원 중심 1차 유행과 무증상 신규 입소자를 통한 유입으로 추정되는 수용자 중심 2차 유행 등이다.

박영준 팀장은 “지표환자인 직원 중심의 1차 유행이 지난해 11월부터 12월 초까지 있었고 12월 중순 이후에 발생한 건 무증상 신규 입소자 통한 수용자 중심의 2차 유행으로 조사됐다”며 “2번의 유행이 있었지만 2개 유행간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고 유입 경로가 다르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즉, 1차 유행과 2차 유행은 서로 유입 경로가 다른 별개 유행이란 얘기다.

그 근거로 ▲역학적 접점이 관찰되지 않았고 ▲바이러스의 유전적 유사성이 낮았으며 ▲1차 유행 기간 수용자의 양성률이 매우 낮다는 점 등을 들었다.

1차 유행 당시 확진자들의 검체에서 채취한 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2차 유행 확진자들의 바이러스 염기서열 분석 결과와 달랐으며 대신 2차 유행 확진자들 사이에선 유사성이 확인된 것이다. 수용자 중 첫 확진자가 나온 12월14일까지 검사를 받은 수용자 593명 중 확진자는 1명으로 양성률은 0.17%에 불과했다.

이어 2차 유행 초기 신규 입소자가 많은 8층과 법적 판결이 나지 않은 상태로 구금 중인 미결수용자 발병률이 높았고 신규 입소자와 추가 확진자 사이 바이러스의 유전적 유사성은 높았다. 19일 기준으로 8층에선 297명 중 120명이 확진돼 양성률이 40.4%에 달해 다른 기타 층의 양성률(3.5%)보다 11.5배 위험도가 높았다.

아직 판결 전인 탓에 법원 출정과 변호사 접견 등이 잦은 미결수용자도 1557명 중 165명이 확진돼 10.6%로 집계됐는데 이는 기결수용자 양성률(1.6%)의 6.6배다.

방대본은 이런 이유를 바탕으로 “2차 유행은 신규 입소자를 통한 유입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신규 입소시 불과 1주 격리…과밀 수용·공동생활, 대규모 감염 불렀다
신규 입소자를 통해 감염이 유입되고 대규모 전파로 이어진 건 다소 느슨했던 입소자 관리와 과밀 수용, 공동생활 등 환경이 맞물린 결과라는 게 합동조사단의 판단이다.

동부구치소는 제한된 수용실 여건으로 수용자 신규 입소 시 최초 1주는 1인 격리하고 다음 1주간은 신규 입소자끼리 다인실 내 공동 격리 체계로 운영하고 있었다.

방대본은 “격리 해제 전 검사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 격리 후 수용실 배치 과정에서 잠복기의 신규입소자를 통해 수용동 간과 층간의 감염 확산 가능성이 높았을 것으로 파악됐다”고 분석했다.

구치소 내 유행 확산 원인으로는 ▲정원을 초과한 과밀 수용 환경 ▲구치소 내 공동생활 ▲법원 출정과 변호사 접견 등 수용자 간 접점이 많은 미결수용자 중심 등이 지목됐다.

넓게 확산된 건 수용자와 접점이 많은 업무지원 작업자를 통해 수용실 간이나 수용동 간에 전파 범위가 확대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신규 입소자가 많은 8층 외에도 동부구치소에선 5층 10.6%, 6층 5.0%, 7층 9.4%, 9층 1.0%, 10층 1.4%, 11층 0.9% 등 양성률이 확인됐다.

앞서 수용자 등을 통해 일부에선 동부구치소의 과밀 수용 환경으로 인해 확진자와 미확진자가 같은 방에 수용되는 일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었다.

이에 대해 방역당국은 양성 판정 이후 확진자와 미확진자가 함께 수용된 일은 없지만 3~8명이 생활하는 혼거실에서 독거실로 이동하는 과정 중 일정 시간 같은 방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영준 팀장은 “확진 사실을 알고도 공간 부족 때문에 같은 데 수용해서 격리 치료했다는 건 확인되지 않았다”면서 “일제검사 통해서 확진 나오면 확진자들을 독거실이나 확진자를 위한 방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방이 준비될 때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잠시 동안 같은 방에 있었을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방대본과 법무부는 지난해 12월31일부터 이달 13일까지 전체 교정시설 대상으로 일제 검사를 하고 8일 교정시설 집단 대응 지침을 마련했다.

신규 수용자는 14일간 예방 격리를 하고 혼거실로 이동하기 전에 일제 검사를 받도록 했다. 방역관리 책임자 지정 등 자체 대응계획 마련 조치 등도 취해왔다. 나아가 전국 교정시설별 방역계획을 수립하는 등 교정시설 특화 재방 방지 대책을 추진하고 합동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