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주말 쉬면서 무심코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다 오랜만에 반가운 분의 이름을 발견했습니다. ‘골목 안 풍경’의 故 김기찬 사진작가입니다. 저를 사진으로 이끌어 준 사진작가 중 한 명입니다.


그가 처음 카메라를 잡았을 땐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두렵고 부끄러워 땅만 촬영했다고 합니다. 사진을 처음 시작하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일화입니다. 초기에 역전 노점상과 행인들을 촬영하던 그는 서울역 뒤 중림동의 묘한 매력에 이끌려 들어갔습니다. 김 작가는 그곳에서 유년 시절을 떠올렸고, 잃었던 고향을 찾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렇게 ‘골목길’은 작가의 평생의 테마가 됐습니다.

처음엔 간첩 신고를 할 정도로 주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차츰 허름한 구멍가게 앞에 모여 동네 어른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그 또한 골목 안 사람들이 됐습니다. 그의 사진들은 마치 그 골목 안을 돌아다니는 것처럼 생생합니다. 비장하거나 화려함이 아닌 그 시대 서민들의 자연스러운 생활상이 포착돼 있습니다.

그가 좋아했던 서양 작가인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이나 유진 스미스의 느낌도 납니다. 좁은 골목길이 만들어내는 특유의 원근감이 사진의 깊이를 더합니다. 고층 빌딩이 아닌 낮은 주택들 사이사이로 스며드는 빛과 그림자를 읽고 셔터를 눌렀을 작가의 모습도 상상됩니다.



계속된 재개발로 이제 달동네들은 거의 사라지고 골목길은 아스팔트 도로가 됐습니다. 놀이터나 골목길에서 놀던 어린이들은 스마트 폰 속에서 전쟁놀이를 합니다. 어른들은 이웃과 층간 소음을 힘들어하며, 거리를 두고 살아갑니다. 특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거리 두기가 일상이 된 지금 더욱 김 작가 사진 속 서민들의 모습이 더욱 따뜻하게 다가옵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조만간 기증받은 김 작가의 필름을 디지털 화하고 색인한 뒤 박물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계획입니다.

그의 사진들을 모아봤습니다. 여러분들도 잠시 김 작가와 함께하는 즐거운 골목길 여행이 되길 바랍니다.
송은석기자 silverstone@donga.com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이언주 “백신 1호 접종 구경만 한 文, 아직 신분사회인가?”
- [단독]‘이용구 폭행사건 지휘’ 서초署 간부, 휴대전화 데이터 삭제 정황
홍준표 “아직도 문재인 세상…정신 못차리는 국민의힘”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