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일보가 입수한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4부(부장판사 김정곤)의 ‘위안부 피해자 배상’ 판결문에 따르면 일본은 2009년 ‘외국에 대한 일본의 민사재판권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이 법 제10조는 “타 국가의 책임으로 일본 영토에서 사망, 상해, 재산상 침해가 발생했을 때 일본은 타 국가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소송 등 재판을 면제해주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재판부는 일본 역시 자국민의 피해가 발생한 범죄에 대해선 다른 국가를 상대로 재판할 수 있다는 예외 조항을 두고 있다고 지적하며 국가면제 원칙이 무조건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2004년 유엔 국가면제협약도 사망 등 인적 피해에 대해선 국가면제를 적용할 수 없다고 명시했다.
재판부는 “타국의 개인에게 큰 손해를 입힌 국가가 국가면제 이론 뒤에 숨어서 배상과 보상을 회피할 수는 없다”며 “관습법을 무조건 적용할 수는 없다”고 판시한 우리 대법원 판례를 제시하기도 했다. 2005년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전체 법질서에 반하며 정당하지 않고 불합리한 관습법은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고 김복동 할머니 등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1심 선고는 13일 나올 예정이었지만 연기됐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5부(부장판사 민성철)는 “추가로 심리할 필요가 있다”며 선고를 미루고 3월에 변론을 재개하기로 했다.
박상준 기자speakup@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김순덕의 도발]공수처장은 ‘법의 지배’를 말했다
윤석열의 마지막 전쟁? 檢수사권 대국민 여론전 뛰어들다
윤석열 “檢수사권 폐지 막을수 있다면 職 100번이라도 걸겠다”
이언주 “文, 선거 때마다 친일 프레임…실망 넘어 분노”
국민을 위한 정부는 없다[오늘과 내일/홍수용]
국민 과반 “가덕도 특별법은 잘못”…부울경 54%도 부정평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