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차관 주재 점검회의, 화상회의서 상황 점검

8일 외교부에 따르면 고경석 아프리카중동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대표단이 지난 7일 이란 테헤란에 도착해 주이란 한국대사관과 현지 상황을 공유하고, 관련 대책을 협의하고 있다.
주이란 대사관은 억류된 선원과 접촉을 이어가고 있으며, 가족들과 통화를 주선하는데도 힘을 쏟고 있다. 앞서 주이란 대사관 사건사고담당 영사를 포함한 현장지원팀 3명은 테헤란에서 선박이 억류돼 있는 반다르아바스까지 차량으로 1300㎞를 이동해 전날 선원을 면담했다.
다만 한국인 1명은 항해 전인 12월 말부터 복통 증상을 보였으며, 선박이 나포된 후 이란 당국에 이를 알리고 하선 후 현지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억류된 한국인 5명, 미얀마 11명, 베트남 2명, 인도네시아 2명 등 모두 20명이다. 이들 국가의 정부도 자국민의 조기 억류 해제를 위해 외교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동시에 서울 외교부 본부에서는 선박 나포 문제 조기 해결을 위해 강경화 장관과 최종건 제1차관, 최종문 제2차관이 참여하는 대책회의를 이어가고 있다. 또 본부와 주이란 한국대사관 등 재외공관 합동회의를 통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으며, 주말에는 관계부처 회의를 통해 억류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한편 이란 혁명수비대는 선박 나포 이유로 제시한 ‘해양 오염’과 관련해 아직까지 관련 증거를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상응하는 증거자료 제출을 외교채널을 통해 요청해 놓은 상태이고, 아직 구체적으로 증거자료를 접수했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해양 오염은 표면적 이유일 뿐 이면에서 한국 내 동결 자금 해소가 거론되고 있는데 대해선 “이란 측이 공식적으로 환경오염 등 기술적 문제가 있다는데 주의를 기울여서 차분하고 냉정하게 대처하는 것이 사건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이언주 “백신 1호 접종 구경만 한 文, 아직 신분사회인가?”
- [단독]‘이용구 폭행사건 지휘’ 서초署 간부, 휴대전화 데이터 삭제 정황
홍준표 “아직도 문재인 세상…정신 못차리는 국민의힘”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