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최초 ‘기후 비상상황’ 선포
“충남 지방정부가 주도한 환경정책, 脫석탄 고민하는 나라에 모범 될 것”

충남에는 국내 석탄화력발전 60기 중 절반인 30기가 몰려 있다. 충남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내 배출량의 25%(1억7700만 t·2017년 기준)를 차지하는데, 이 중 상당수가 석탄발전에서 나온다. 자연스럽게 시민단체와 전문가를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졌고, 지역 전체로 공감대가 퍼졌다. 그 결과 충남은 2019년 동아시아 도시 중 최초로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하며 기후변화 대응 선도 지역으로 발돋움했다.
다른 지자체의 참여가 잇따랐다. 대구 대전 울산 등 7개 광역지자체와 서울 부산 인천 등 11개 시도 교육청 등 지금까지 ‘탈석탄 금고’를 선언한 곳은 56개에 이른다. 이들 금고의 연간 재정 규모는 148조 원. 금융권도 움직였다. KB금융그룹과 신한금융그룹이 석탄발전 관련 프로젝트에 투자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선언을 내놓았다.
이제 충남은 어떻게 ‘정의로운 전환’을 이뤄낼 것인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도는 지난해부터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TF’를 만들어 각계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아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벌어질 수 있는 상황들을 예측하고 있다. 석탄발전을 폐쇄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실업 문제, 도의 세수 감소 규모 등을 우선 정리하고 있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은 “이제는 자영업과 정규직, 비정규직 등 직업 형태별로 세분해 예상되는 파급력을 파악하고, 석탄폐쇄 단계에 따른 연도별 시나리오를 작성해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그린뉴딜에 ‘정의로운 전환 기금’을 마련해 변화가 큰 지역이 타격을 입지 않도록 지원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단독]윤석열측 “尹총장, 이르면 오늘 사의 표명할 듯”
文대통령 1등공신 윤석열, 文의 최대 정치적 라이벌 되다
윤석열 사퇴 “어떤 위치에 있든 자유민주주의-국민 지키겠다”
실패로 끝난 ‘윤석열 발탁’…맥못춘 당정청, 원인은 어디에?
[단독]尹 “국가사법시스템 망가뜨리려 하는데… 내가 관둬야 멈출 것”
은행장 중징계, 사단장은 해임, 변창흠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