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의 극우본색 “재임중 일본의 전후 사죄 외교 끝냈다”

  • 뉴스1
  • 입력 2020년 10월 13일 14시 13분


코멘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일본 총리가 재임 중 제2차 세계대전 패전국 일본의 ‘사죄 외교’를 끝냈다고 자평했다.

아베 전 총리는 13일 보도된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베 정권의 성과와 관련해 지난 2015년 8월15일 일본의 2차 대전 패전 70주년을 맞아 발표한 ‘전후(戰後) 70년’ 담화와 이듬해 미국 하와이 진주만 방문 등을 예로 들어 “‘전후’를 끝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전후’란 1945년 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를 뜻하는 말이다. 이 시기 일본은 패전국임에도 불구하고 미국과의 군사동맹을 체결하고 경제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 내 보수·우익 진영에선 Δ전쟁 금지와 Δ군대 불보유를 규정해 ‘평화 헌법’으로 불리는 현행 헌법이 2차 대전 패전 뒤 미 군정기 연합국 총사령부(GHQ) 주도로 만들어졌다는 이유로 헌법 개정 등 ‘탈전후’를 주장해왔다.

아베 전 총리가 2012년 말 재집권 뒤 헌법 해석 변경을 통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가 가능하게 만들고, ‘자위대 합헌화’ 등을 위한 개헌을 추진해온 것도 이 같은 ‘탈전후’ 관념과 맞닿아 있다.

아베 정권이 그동안 일제강점기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동원 사실을 부정하고 그에 따른 사과·배상 요구도 회피하는 등 역사수정주의 기조를 보여 온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일례로 일본 정부는 1993년 8월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을 통해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내용의 ‘고노 담화’를 발표했지만, 아베 정권은 그 작성 경위에 대한 검증 작업을 벌여 2014년 6월 ‘한국 측과 협의해 담화를 작성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하며 그 의의를 축소·왜곡했다.

이와 관련 아베 전 총리는 이번 인터뷰에서 ‘고노 담화’ 작성과정 검증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역사의 진실에 보다 가까이 다가감으로써 (강제동원 논란 등) 문제에 종지부를 찍었다”고 주장했다.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재차 부정한 것이다.

아베 전 총리는 또 1995년 8월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당시 총리가 일본의 과거 식민지배 사실을 공식 사과한 ‘무라야마 담화’에 대해서도 “일본만 들여다봤다는 문제가 있다”며 “지난 대전은 세계적인 사건이기 때문에 지구의를 내려다보듯 넓게 보고, 동시에 오랜 역사의 흐름을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아베 전 총리는 ‘전후 70년’ 담화에서 “식민지배는 100여년 전 서양 여러 나라를 중심으로 시작된 것”이라며 일본의 가해 책임을 축소하는 등 왜곡된 역사인식을 드러낸 적이 있다. 아베 전 총리는 당시 담화에서 “(일본의) 전후 태어난 세대와 그 뒤 세대 아이들에겐 사과를 계속하는 숙명을 짊어지게 해선 안 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밖에 아베 전 총리는 이번 인터뷰에서 납북 일본인 문제에 관해선 “안타깝게도 결과를 낼 수 없었지만 (재임 중)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다”며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도 문제의 경위와 본질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맡겨도 문제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가 총리는 앞서 아베 정권에서 관방장관과 납치문제담당상을 지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