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대 모친 병환 지켜본 文대통령 ‘비대면 의료’ 필요성 절감

  • 뉴스1
  • 입력 2020년 5월 19일 16시 38분


코멘트
문재인 대통령과 모친 고(故) 강한옥 여사. 사진은 지난 2017년 10월 4일 문 대통령이 강  여사의 손을 잡고 직접 청와대 본관을 소개하는 뒷모습. (청와대 제공) 2019.10.29/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모친 고(故) 강한옥 여사. 사진은 지난 2017년 10월 4일 문 대통령이 강 여사의 손을 잡고 직접 청와대 본관을 소개하는 뒷모습. (청와대 제공) 2019.10.29/뉴스1
청와대와 정부의 ‘비대면 의료’에 대한 추진 의지가 강해 보인다.

이른바 영리병원 등 ‘원격 의료’ 도입과 관련한 우려로 대한의사협회가 강력 반발하고 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비대면 의료의 필요성을 절감한 데다 올 가을철로 예상되는 2차 팬데믹(pandemic·세계적 대유행)에 대응해야 하는 이유 때문으로 분석된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9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비대면 의료는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2차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고, 의료진의 건강과 환자의 의료접근권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며 “비대면 의료와 관련해 정부가 왜 추진하는지에 대해 강조해서 누차 말씀드렸다. 차질없이 정부는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비대면 의료’ 추진에 대한 논쟁을 수면 위로 끌어올린 것은 김연명 청와대 사회수석이다. 김 수석이 지난 13일 21대 총선에서 여의도 입성에 성공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인들을 상대로 한 비공개 포럼에서 ‘원격 의료’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김 수석은 당일 당선인들과 만찬 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한시적으로 허용한 전화상담 진료가 상당한 수치(당시 17만건)를 기록했다며 본격적인 ‘원격 의료’ 도입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원격 의료’라는 표현이 과거 ‘의료 상업화와 민영화’ 등과 연관돼 왔다는 점을 고려해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청와대는 원격 의료라는 표현 대신 공공성의 의미를 살릴 수 있는 ‘비대면 의료’로 네이밍하며 정책 추진에 대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이같은 ‘비대면 의료’와 관련한 정책 추진에는 사실 문 대통령의 의지가 상당 부분 반영돼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돌아가신 모친 강한옥 여사로 인해 ‘비대면 의료’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다고 한다. 당시 90대의 나이에 지병을 앓고 계셨던 강 여사가 의사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까지 대중교통 등을 이용해 직접 나가야 하는 불편함을 지켜봤기 때문이다.

이후 문 대통령은 청와대 참모진들과 만날 때 몸이 불편한 어르신이나 장애인 등이 직접 병원에 가지 않고도 편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은 없겠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이와 관련, 문 대통령은 지난해 4월 우즈베키스탄 순방 당시 타슈켄트 인하대학교에서 진행된 ‘한-우즈베키스탄 간 원격 협진 시연’ 때에도 의료진의 입장에서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되는지는 물론, 환자 입장에서 치료에 도움이 되는지 등을 질문하며 관심을 보인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당시 “원격 의료에 대한 우리 국민의 인식도 점차 개선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의협 등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비대면 의료’ 체계 구축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현재 의료시스템처럼 비대면 의료 체계 구축시에도 이른바 동네 병원에서 1차적으로 진료를 보도록 하는 방안이 의협과의 절충안 등으로 거론된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7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비대면 진료가 상당히 유효하다는 중간평가를 하고 있다”고 평가한 뒤 “국민의 건강과 진료가 좋은 방향으로 가면서 동네 의원을 비롯해 의료진이 어려운 상황을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제가 들여다보니까 해결책이 있다. 그래서 그 해결책을 서로 잘 의논해서 원만하게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