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식 체계 갖춘 ‘이팔사’, 3개 대대 번갈아가며 전략적 항거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2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2019 3·1운동 임정 100년, 2020 동아일보 창간 100년]
3·1운동 100년 역사의 현장 2부 <제86화> 전남 순천

1956년 6월 8일 전남 순천시 낙안읍에서는 낙안3·1운동을 기리기 위한 ‘기미독립운동기념탑’ 제막식이 거행됐다. 사진은
 낙안3·1운동에 참가했던 생존 독립운동가들과 관계자들의 기념촬영 모습이다. 앞줄에 앉은 이들 가운데 배윤주(왼쪽에서 두 번째)를
 뺀 나머지는 이팔사 대원이다. 왼쪽부터 윤점수, 배윤주, 김인채, 김만득, 안은수, 안규진, 신용석, 오영태, 안덕환 지사. 
낙안3·1운동애국지사유족회 제공
1956년 6월 8일 전남 순천시 낙안읍에서는 낙안3·1운동을 기리기 위한 ‘기미독립운동기념탑’ 제막식이 거행됐다. 사진은 낙안3·1운동에 참가했던 생존 독립운동가들과 관계자들의 기념촬영 모습이다. 앞줄에 앉은 이들 가운데 배윤주(왼쪽에서 두 번째)를 뺀 나머지는 이팔사 대원이다. 왼쪽부터 윤점수, 배윤주, 김인채, 김만득, 안은수, 안규진, 신용석, 오영태, 안덕환 지사. 낙안3·1운동애국지사유족회 제공
1919년 4월 2일 전남 순천군(현 순천시) 낙안면 신기리 뒷산. 칠흑 같은 어둠을 뚫고 8명의 사내들이 모여들었다. 이들은 그 자리에서 “우리는 같은 해 같은 월 같은 날에 죽자”고 약속한 뒤 ‘도란사(桃蘭社)’라는 결사체를 조직한다. ‘도란’은 중국 한나라 때 유비·관우·장비 3명이 했던 도원결의와 진나라 때 문사들의 모임인 난정(蘭亭)의 고사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으로, ‘뜻있는 유생들이 모여 독립만세운동에 목숨을 바치는 결의’를 의미한다.(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3’)

안호영(대한제국 시절 내관), 이병채(훈장) 등이 주축이 된 도란사 회원들은 이튿날인 4월 3일 일본 도쿄 유학생들의 2·8독립선언에서 이름을 딴 ‘이팔사(二八社)’라는 행동대도 결성한다. 일제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위친계(爲親契·상부상조를 위한 친목모임)로 가장한 이팔사 대원은 33인 민족대표를 상징하는 33명으로 구성됐다.(광주지방법원 순천지청 재판기록, 1919년 5월 2일)

이들은 효율적인 독립만세운동을 위해 이팔사 조직을 크게 3개 대대로 나누고, 산하에 소규모 조직인 ‘조’를 두는 등 군대식 체계도 갖췄다. 1대대가 일제 군경에 잡히면 2대대가 일정한 시차를 두고 시위를 벌이고, 뒤를 이어 3대대가 또 다른 만세운동을 펼치는 게릴라식 전술 체제였다.(낙안기미독립운동유적보존회, ‘낙안기미독립운동사’)

순천 만세운동은 이처럼 군대식 편성을 바탕으로 조직적인 시위를 일으켰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의 만세운동과 구별된다. 여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하나는 일제와의 전투 경험이다. 문인향(文人鄕)이라고 불릴 만큼 유림적인 전통이 강했던 순천군 낙안지역에는 1905년 을사늑약 이후부터 의병활동 등 항일무력투쟁에 가담한 인사들이 적지 않았다. 이들이 만세운동에 참여하면서 시위를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이끌어갔다.

또 다른 요인은 실패 경험이다. 순천은 경성의 만세운동 소식을 접한 3월 초부터 시위계획을 세웠지만 번번이 일제 경찰의 감시망에 걸렸다. 3월 2일 순천 천도교도들이 주도하던 시위계획이 무산됐고, 3월 16일 기독교도들이 순천읍 난봉산에 모여 만세를 부르려던 계획도 헌병 분견대에 의해 실패로 끝났다.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는 순천에서 6차례의 시위, 1500명의 참여, 8명 피살, 32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모두 도란사와 이팔사 등에 의한 조직적인 만세운동이 이끌어낸 결과였다.


○ 이팔사 대원들의 전술

순천의 본격적인 만세운동은 이팔사 대원 전평규(당시 45세)가 이끈 1대대로부터 시작된다. 4월 9일 벌교면 장좌리 아래장터(현재는 보성군)에 모인 이팔사 대원들은 장이 서자마자 기습시위를 펼쳤다. 전평규가 안용갑, 안응섭 등과 함께 ‘대한독립기’라고 쓴 종이를 흔들며 장꾼들을 향해 “모두들 우리와 같이 조선독립을 절규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지 않으려는가”라면서 조선독립만세를 크게 외쳤다. 태극기가 휘날리고 군중이 호응하자 장터는 순식간에 시위장으로 바뀌었다. 이에 일제 헌병대가 무력진압에 나섰다. 이날 이팔사 대원 전평규, 안덕환 등 14명이 체포됐고, 부상자 여럿이 발생했다.

1대대의 시위 나흘 뒤인 4월 13일(낙안 장날) 2대대의 만세운동이 뒤를 이었다. 2대대는 낙안읍내(현 낙안읍성 민속마을) 인근의 하송리 사람들이 중심이 됐다. 2대대를 이끈 이팔사 대원 김종주는 1912년 임병찬이 주도한 대한독립의군부의 호남유사(湖南有司·의병대장)를 맡는 등 일찌감치 독립운동에 뛰어든 지사였다.

이날 오후 2시 김종주와 유흥주는 태극기와 ‘대한독립기’라고 쓴 2개의 대형 깃발을 준비한 뒤 낙안읍성 서문 밖에서부터 시위대를 이끌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성내로 진입했다. 서문을 경비하다 제지하려던 일본군 2명은 장꾼까지 가세한 시위대의 맹렬한 기세에 물러섰다. 이때 순찰 중이던 일제 헌병과 보병 6명이 총검을 휘두르며 진압에 나섰다. 시위대 맨 앞에 있던 김종주가 “찔러 죽이려면 죽여보아라”고 소리치며 가슴을 열어젖혔다. 일제 군경이 주춤대자 시위대 일부가 군인들에게 달려들어 총검을 빼앗으려 했다. 김종주도 일제 헌병의 권총을 뺏을 목적으로 격렬한 몸싸움을 했다. 이 과정에서 김종주는 일제의 칼날에 양손을 다치며 쓰러졌다. 피를 흘리며 쓰러지는 아버지(김종주)를 목격한 아들(선재)과 시위대 일부도 일제 군경에 달려들었다가 군도(軍刀)에 상처를 입는다.

조선총독부 경무국은 당시 상황을 이렇게 기록했다. “4월 13일 오후 2시 10분, 낙안면민 약 150명은 구한국기를 앞세우고 낙안읍내 시장에 들어왔는데 헌병과 보병들이 제지했음에도 극력 저항하므로 총검을 사용해 해산시켰는데, 시위자 중 4명이 부상을 당하였다. 수모자(首謀者) 5명을 체포하고 해산시켰다.”(‘3·1운동 일차보고’)

낙안 3·1운동애국지사유족회 배현진 회장(65)은 낙안읍내 시위가 펼쳐졌던 낙안읍성민속마을에서 “객사(복원 전에는 낙안초등학교) 바로 앞쪽 ‘난전 음식점’ 일대가 당시 낙안장이 열린 곳이고 이곳에서 만세운동이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곳에는 새로 단장된 ‘낙안 3·1독립운동기념탑’과 만세 시위지임을 알리는 표지판이 세워져 당시를 기리고 있었다.

배 회장은 “해마다 이곳에서 삼일절 기념식과 만세운동 재현 행사를 개최했는데(올해는 순천시내에서 개최) 그날만 되면 기온이 뚝 떨어졌다”며 “당시 낙안 독립운동가들의 처절하고 치열한 마음을 전하는 듯하다”고 말했다.


○ 혈서로 그린 태극기

낙안읍성의 2대대 시위에 이어 다음 날인 4월 14일 3대대가 주도하는 3차 시위가 진행됐다. 장소는 1차 시위가 펼쳐진 벌교 장터였다. 1대대의 1차 시위를 경험한 데다 전날의 낙안읍성 시위로 독립만세의 열기는 달아올라 있었다.

낙안읍성 동문 쪽에 새로 조성한 3·1운동기념탑. 배윤주 지사의 손자인 배현진 씨가 당시의 만세운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순천=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낙안읍성 동문 쪽에 새로 조성한 3·1운동기념탑. 배윤주 지사의 손자인 배현진 씨가 당시의 만세운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순천=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안용갑이 이끈 3차 시위에는 1차 시위 때 검거를 피한 이팔사 대원들과 자발적으로 동참한 신기리 사람들이 주도했다. 이팔사 대원 안규삼은 왼손 무명지를 베어 흐르는 피로 태극기를 그리면서 거사의 각오를 다졌다.(안상규, 안응섭 등 판결문)

오후 3시 ‘대한독립기’와 피로 그린 태극기를 앞세우며 만세 시위가 시작됐다. ‘순천군 동초면 신기리 입(立)’이란 글씨가 덧씌워진 ‘혈서(血書) 태극기’가 대나무로 만든 장대에 게양돼 펄럭이며 나타나자 벌교시장은 감격과 환호성으로 가득 찼다. 시위 군중과 진압에 나선 일제 헌병대 간에 몸싸움도 펼쳐졌다.

태극기를 든 안규삼이 일제 헌병들에게 체포되자 안규진이 땅에 떨어진 태극기를 다시 주워들어 만세를 불렀다. 안규진이 다시 붙잡히자 안운수(안은수)가 주워 들었고, 안운수가 체포되자 안상규가 뒤를 이어 태극기를 들었다. 이런 식으로 시위대는 일제 군경의 진압에 굴하지 않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전진을 계속했다.

이날 시위는 일제의 강제진압도 효과가 없을 정도로 활발하게 전개됐다. 시위대는 일제의 무력 진압을 뚫고 벌교에 위치한 헌병분견대 앞까지 진출했다. 이들은 태극기를 흔들며 구금된 이들의 석방을 요구했다. 그날 밤 9시까지 이어진 봉화 시위 때에도 일제 헌병과의 무력 충돌이 펼쳐졌다. 며칠 후 산상 시위 때에는 일제 헌병대가 산 정상을 향해 대포까지 쏘았다. 이는 당시 시위가 이미 전쟁의 양상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배 회장은 벌교 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신기리에서 “낙안읍성과 벌교장터의 중간 지점에 자리 잡은 이곳은 죽산 안씨 등이 거주하면서 유림 전통이 강했고, 최익현 의병진에 가담하는 등 항일정신이 투철했던 곳”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은 신기리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후손이 거의 사라진 데다 3·1운동을 기념하는 표지석도 없어 주민들조차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사실을 모르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한편 이팔사 대원들의 3차례 대규모 시위에 영향을 준 사건이 순천읍내에서 있었다. 1919년 4월 7일 순천읍 장날에 유생 박항래(당시 58세)가 순천시내의 남문 문루인 연자루에 올라 “현재 경향 각지에서 조선독립을 위해 독립만세를 부르고 있으므로 순천에도 그와 같이 만세를 외치자”고 연설한 후 단독으로 만세를 외치다 일경에 체포된 일이다. 그는 광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다 그해 11월 3일 옥중에서 순국했다. 현지 향토사학자들은 “그의 외로운 함성이 이후 낙안과 벌교 등에서 펼쳐진 대규모 시위에 영향을 줬다”고 해석했다.


▼ ‘독립의군부’에 가담했던 인사들 호남의 만세운동 주도 ▼

최익현의 제자 임병찬 격문 발표, 호남 의병-유생들 적극적 호응
3·1운동 뿌리는 의병운동인 셈


순천지역의 만세운동을 이끈 이팔사 등 결사체 대원들은 대다수가 유생이자 실천하는 지식인이었다. 특히 김종주 이병채 안주환 안규휴 등 대원들은 면암 최익현을 필두로 한 전남의병 활동에 앞장섰다. 1910년 일제의 강제병합 후에는 군대식 비밀결사체인 ‘대한독립의군부’(1912년 결성·이하 독립의군부)의 항일투쟁에 가담했다. 이들은 독립의군부의 군대식 편제를 응용해 만세운동을 조직하고 이끌었다.

호남지역에서 결성된 독립의군부는 전북 옥구(현 군산) 출신의 유학자 임병찬(낙안군수 지냄·사진)이 1912년 고종의 비밀문서를 받고 ‘독립의군부 전라남도 순무대장(巡撫大將)’의 이름으로 비밀리에 동지를 모으면서 시작됐다. 임병찬은 1906년 스승 최익현의 지휘를 받아 의병 활동을 벌이다 붙잡힌 뒤 일본 쓰시마(對馬島)에서 귀양살이까지 했던 의병장이다. 임병찬이 격문을 발표하자 호남지역 의병과 유생들이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는 1913년 2월 전라남북도 순무총장 겸 사령장관에 임명된 뒤 전국 규모의 조직을 짰다.

독립의군부는 중앙원수부(中央元帥府)에 병마도총장(兵馬都總長)과 참모총약장(參謀總約長)을 두어 지휘부를 구성하고 서울·강화·개성·수원·광주에 5영(營)을 설치했다. 각 도·부·군 단위마다 지역별 대표도 선정했다. 독립의군부는 결성 당시 유생과 대한제국 전직 관료들로 이뤄져 왕정복고를 목표로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해외 독립운동가들과 연대하는 비밀결사체로 성격이 바뀌었다. 독립의군부 인사들은 국내에서 대한교민광선회를 결성하고, 국외지역인 서간도에서는 광제회를 결성해 동지 규합과 군자금 모금을 주도했다. 국권반환요구서 제출 및 전 국민 투서 운동 등과 같은 다양한 항일투쟁도 준비했다.

독립의군부의 참모관으로 임명하는 고종의 칙명서(勅命書). 독립기념관 제공
독립의군부의 참모관으로 임명하는 고종의 칙명서(勅命書). 독립기념관 제공
하지만 1914년 5월 23일 군자금 모금 과정에서 조직이 발각돼 임병찬을 비롯한 많은 대원들이 붙잡혔다. 임병찬은 체포된 뒤 1916년 거문도 유배지에서 병을 얻어 순국했다. 이로 인해 항일의병을 일으켜 거사를 계획하던 유림과 의병세력은 큰 타격을 입고 지하로 잠적했다. 그러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의군부에 가담했던 호남지역 인사 상당수가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이는 한국독립운동사에서 3·1운동을 의병운동의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순천=안영배 논설위원 ojong@donga.com
#3·1운동 100년#전남 순천#만세운동#이팔사#의병운동#독립의군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