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내년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반영되는 재건 효과가 4분기의 허리케인 피해보다 조금 더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샌디의 피해 때문에 4분기 미 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최고 0.5%포인트 줄어들 수 있어서다.
자산운용사 US 글로벌인베스터스의 프랭크 홈스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CNBC에 출연해 재건 과정에서 피해 금액의 최대 5배까지의 경제적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미국 경제가 샌디 때문에 입은 피해 규모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재난피해 컨설팅업체 에퀴캣은 기업의 영업 중단 등을 포함한 경제적 피해 규모를 300억¤500억 달러로 추산했다. 시장분석업체 IHS 글로벌인사이트도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경제적 손실액을 같은 범위로 발표했다.
바클레이즈 투자은행은 샌디로 인해 4분기 미국 GDP 성장률이 0.2¤0.3%포인트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샌디는 미국에서 경제적 피해를 가장 많이 입힌 5대 허리케인에 포함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2005년 발생한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해 미국은 1000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피해를 입은 바 있다.
<동아닷컴>
[송평인 칼럼]가짜 진보 몰아낼 3년의 시작일 뿐인데…
윤희숙 “백신 장담하고 사라진 정세균…국민이 얼마나 만만하면”
왜 정부는 전체 국민 백신접종률을 발표하지 않을까[이진구기자의 대화, 그 후- ‘못다한 이야기’]
이준석 “내가 차마 말 못했는데 김종인 ‘주호영, 安과 작당’ 정확했다”
이성윤 기소 ‘키’ 쥔 조남관 총장 권한대행의 최종 결정은?
초선 김웅, 국민의힘 당대표 여론조사 ‘깜짝 2위’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