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조은아]내수-수출산업 불균형 성장 극복할 해법 없나

  • Array
  • 입력 2010년 7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최근 한국 경제의 성적표는 해외에서도 깜짝 놀랄 정도다. 26일 발표된 상반기 경제성장률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넘어 경기회복세가 뚜렷하다.

하지만 화려한 이 성적표에 마냥 기뻐할 수는 없다. 한국 경제의 오랜 숙제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경제 회복세 속에 반도체와 자동차 등 수출 주력 업종은 큰 성장을 보인 반면 국내 시장에 기반을 둔 소비재 및 서비스 업종 등 내수산업의 성장률은 비교적 큰 변화가 없다.

수출 주도로 성장해 온 한국 경제에서 내수와 수출산업의 성장 격차가 더는 새로운 얘기가 아니다. 그러나 그 격차가 좁혀지기는커녕 더욱 커지고 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한국의 업종별 경제성장률에서 내수산업은 수출산업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지난해 말 내수산업보다 3배 정도 높았던 수출산업의 경제성장률이 2분기에 4배를 넘어선 것이다.

일부에서는 “수출 중심 국가로서 어쩔 수 없는 한계”라고 체념조로 단정해 버리기도 한다. 수출이 성장을 이끄는 경제의 구조적 특성상 내수를 아무리 부양해도 상황이 크게 바뀔 것 같지 않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대로 내수와 수출산업의 성장 불균형이 굳어진다면 한국 경제의 재도약은 물론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은 벽에 부닥칠 수밖에 없다. 우선 고용 문제가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취업자 가운데 내수산업에 채용된 비율은 83.3%나 됐다. 수출업종에 채용된 비율의 무려 5배나 된다. ‘고용 없는 성장’을 해결할 열쇠가 내수산업인 셈이다. 특히 금융 정보기술(IT) 의료 관광 컨설팅 등 서비스산업이 만들어내는 일자리는 압도적이다. 또 지금과 같은 회복기에는 수출 덕에 웃을 수 있지만 침체기에는 튼튼한 내수산업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더욱 큰 충격을 받게 된다. 경제 성장의 안전판 역할을 하는 내수 기반을 다져야만 하는 이유다.

정부는 내수산업의 핵심인 서비스산업을 키울 대책을 만지작거리고 있지만 제대로 된 결과물을 못 내놓고 있다. 신(新)수종 사업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는 재계이지만 매킨지 구글 같은 서비스산업의 대표주자는 아직까지 눈에 띄지 않는다. 가시적인 성과를 이른 시일 내에 낼 수 있는 수출산업에 집중하는 것이 당장은 달콤할 수 있다. 그렇다고 크기가 다른 바퀴를 가진 수레가 얼마나 먼 길을 온전하게 갈 수 있을까. 더 늦기 전에 말만 많고 지지부진한 제도를 구체화하고 서비스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

조은아 경제부 ach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