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가 빚더미에 오른 것은 국민임대주택, 세종시, 보금자리주택 건설 등 국책사업을 떠안은 탓이 크다. 역대 정부는 신도시 건설 같은 국책사업을 추진할 때 토지공사와 주택공사를 앞세웠다. 이들 공기업은 국유지 등을 활용해 싼값에 대규모 택지를 조성하고 분양도 잘돼 ‘정부 덕에 땅장사, 집장사를 한다’는 비판을 들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역대 정권의 포퓰리즘 정책이 누적되면서 회사 재정이 악화할 대로 악화했다.
재정의 난맥상을 보이는 공기업은 LH만이 아니다.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86개 공공기관 가운데 부채가 많은 25개 기관의 금융성 부채는 지난해 말 181조 원에 이른다. 금융성 부채가 10조 원이 넘는 곳이 LH와 한국전력공사(22조 원) 한국도로공사(20조 원)를 포함해 5개사에 이른다. 국내 공기업 부채는 국가적인 재정위기를 불러오는 도화선이 될 수도 있어 외국 신용평가회사들도 주시하고 있다.
LH의 사업 포기는 사업 관련 주민에게는 날벼락이나 마찬가지다. 그동안 정부와 LH가 키운 ‘부채 재앙’의 뒤처리 일부를 주민이 떠안은 꼴이다. LH는 주민과 부동산시장의 충격을 가급적 줄이고 향후 주택공급 차질을 최소화하는 보완책을 강구해야 한다. 부채가 많은 다른 공기업들도 사업 중단 같은 충격 요법에 앞서 자체 구조조정에 매진하는 것이 옳다. 이번 충격의 근본 원인은 정부의 공기업 정책 실패와 공기업의 방만 경영에 있다. 이런 과오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정부는 공기업 관리의 틀을 다시 짜야 한다.
“국민을 아무리 개돼지로 안들…” 文캠프 출신 변호사 중수청 비판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단독]윤석열측 “尹총장, 이르면 오늘 사의 표명할 듯”
文대통령 1등공신 윤석열, 文의 최대 정치적 라이벌 되다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김순덕 칼럼]한 번도 보수당을 찍어본 적 없는 세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