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무 증가 ‘빨간불’
올 6월 말 현재 부산시 지방채는 2조7280억 원. 지난해 말 2조6678억 원이었으나 602억 원이 증가했다. 예산 대비 채무비율은 35.6%에 이른다.
또 2006년 교통 관련 재정 수요가 대폭 증가한 것도 재정 악화의 원인. 올해 교통공사 운영 적자 지원에 1540억 원, 버스준공영제 도입 재정 지원에 633억 원이 쓰인다.
또 부산신항 배후도로 건설, 국가지원 지방도 건설 등 대규모 SOC 사업에 매년 3000억 원 이상 투자가 필요하다. 사업 초기 대규모 투자 재원이 필요하고, 신규 사업 시 자금 대부분을 타인 자본에 의존하는 공사와 공단도 문제. 부산교통공사와 도시공사, 시설공단 등 3개 기관의 채무액이 2조3972억 원으로 재무 건전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 “허리띠 졸라야”
부산시는 ‘지방채 목표관리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해마다 상환액 범위를 정하고 그 범위에서 불가피한 사업에 한해서만 지방채를 발행한다는 것. 또 지방채 상환기금과 통합관리기금을 활용해 지방채를 조기 상환하기로 했다.
자치구군의 청사 신축은 억제하고 리모델링을 유도하기로 했다. 청사 리모델링 비용은 ‘지방청사 정비기금’을 활용한다.
시는 올해 예산 1046억 원을 아끼기 위해 축제 및 행사성 경비를 줄여 나가기로 했다. 민간보조금 관리도 일몰제 적용과 주기적인 평가, 신규 사업 사전심사 등을 통해 철저히 하기로 했다.
특히 총사업비 40억 원 이상인 신규 사업과 5억 원 이상인 행사 및 축제 경비는 특별관리를 하기로 했다. 주민참여 예산제도 활성화를 위해 예산투자, 예산절감, 예산낭비 사례 등을 신고할 수 있도록 26일부터 시 홈페이지에 시민참여 코너를 운영한다. 또 공사와 공단의 재정 건전화를 위해 인건비 절감과 수익사업 발굴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홍준표 “아직도 문재인 세상…정신 못차리는 국민의힘”
“임기말 대통령 눈엔 뒤꽁무니만…관료들은 ‘몸 세탁’ 외국행”[최영해의 폴리코노미]
文 정부에서 사라진 김대중과 노무현의 유산[광화문에서/한상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