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에 대한 사회적 시선 후진적
잊을 만하면 이런 사건이 터진다. 정치인의 ‘오럴 해저드(언어 해이)’는 정치인 개인을 순식간에 나락으로 떨어뜨리기도 한다. 하지만 단순히 개인적인 침몰을 넘어서서, 우리 사회의 수준을 적나라하게 보여 준다는 점에서 늘 실망감을 안겨준다. 한 명의 실언이라고 하기엔 여성 비하 발언이 권력층으로부터 지나치게 자주 흘러나온다. 이런 사건들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시선 자체의 후진성을 드러낸다.
공직자 公私담화 구분도 못해서야
‘위대한 커뮤니케이터’가 되어야 할 공직자들이 ‘위험한 커뮤니케이터’가 되는 경우를 꽤 봐왔다. 공직에 있으면서도 공적인 인식을 갖지 못하면 이런 사고는 터질 수밖에 없다. 사실 우리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는 두 가지 채널로 이루어져 있다. 공식적인 채널과 비공식적인 채널이다. 공식적인 채널보다 비공식적인 채널에서 중요한 이야기와 정보가 많이 오간다. 이런 이중적인 커뮤니케이션 구조가 존재하다 보니 공적인 자리와 사적인 자리의 경계가 허물어진다. 공적인 자리의 조심성이 없어지면서 위험한 발언이 나온다.
공직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공익을 위한 마음가짐이다. 공직자의 도덕성은 보통사람과 달라야 한다. 부적절한 언행을 스스로 제어하지 못하면 공직을 포기해야 한다.
경기고 서울대 법대 졸업, 법대 재학 중 사법시험 합격, 아시아인 최초로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학생 공동대표, 국회의원. 요즘 젊은이들이 부러워할 만한 강용석 의원의 ‘스펙’이다. 스펙으로만 보면 최고 엘리트인데 말과 행동이 그에 따르지 못해 공분을 샀다.
공직자의 발언은 자유로울 수가 없다. 공식적으로 기자회견을 하는 것만 공식 발언이 아니다. 인터넷 시대의 젊은 세대에게는 더 그렇다. 모든 발언은 검증의 대상이다. 미디어도 워낙 다양해지다 보니 예전처럼 그럴듯하게 공식적인 내용만 걸러주는 친절함은 기대하기 어렵다. 예전에는 엘리트가 대중을 컨트롤했지만 지금은 다르다. 대중이 엘리트를 유리 어항 속에 넣어두고 지켜본다. 이제 비밀이란 없다.
강미은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국민을 아무리 개돼지로 안들…” 文캠프 출신 변호사 중수청 비판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단독]윤석열측 “尹총장, 이르면 오늘 사의 표명할 듯”
文대통령 1등공신 윤석열, 文의 최대 정치적 라이벌 되다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홍준표 “공수처 이어 중수청 설치? 文 수사 두려워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