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오전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만난 허완 군(15)은 1년 새 10cm 넘게 키가 컸다고 했다. 허 군은 2009년 9월 한국인 최초로 프랑스 파리오페라발레학교에 입학해 연수생으로 공부한 뒤 올해 6월 교내 콩쿠르를 통과해 9월부터 정규 학생 자격으로 3학년 과정(한국의 고교 1년)에 들어간다. 연수생 7명 중 허 군을 포함해 3명만 합격했다. 파리오페라발레학교는 볼쇼이발레단, 아메리칸발레시어터 등과 함께 세계 5대 발레단에 들어가는 파리오페라발레단의 부속학교다. 300여 년의 전통을 갖고 있지만 그동안 한국인 학생은 단 한 명도 없었다. 6년 과정에 학생은 학년별로 남녀 각 10여 명. 프랑스 정부가 기숙사비를 제외한 모든 학비를 지원한다.
“(지난해) 입학시험 볼 때요? 떨리지는 않았고 좀 허무하면서도 시원했어요. 10분 정도 걸렸거든요.” 예원학교와 국립발레단 아카데미를 다니던 허 군은 2009년 5월 입학시험에서 수영복을 입고 신체검사를 한 뒤 교사가 보여주는 동작을 따라했다. “시험 끝나고 합격자 명단을 발표했을 때 처음엔 떨어진 줄 알았어요. ‘H’를 ‘o’으로 읽는 프랑스어 발음 때문에 ‘허완’을 ‘우완’이라고 불렀거든요. 지금도 사람들이 그렇게 불러요.”
바쁜 시간표지만 취침 시간만은 오후 10시로 정해져 있다. 식사는 성장기에 맞도록 전문 요리사 2명이 식단을 짠다. 남학생은 매주 한 번씩 체조 수업이 있어 부상을 막고 근력 발달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따로 하기도 한다. 허 군은 “한국에 있을 때보다 무용에만 집중할 수 있어 좋다. 전에는 점프할 때 다리에 힘이 부족했는데 지금은 확실히 힘이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제일 재미있는 수업은 클래식 발레예요. 처음에 어색했던 건 뮈지크 수업이고요. 음악을 듣고 자유롭게 춤을 추는 수업인데 동작과 동작이 잘 연결되지 않아 애를 먹었어요.”
프랑스로 가기 전 2년간 허 군을 지도했던 정진아 국립발레단 아카데미 전임교사는 “무릎과 발등의 유연성이 뛰어나 신체 코디네이션(팔이나 다리 등 신체 각 부분이 서로 다른 동작을 한꺼번에 수행하는 능력)이 좋다. 복잡한 동작을 따라해야 하는 클래식 발레 수업이 쉬운 것도 그 덕분”이라고 말했다.
유학 초기에는 프랑스어 때문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첫 학기에는 “수업 내용을 못 알아듣는다”는 평가도 받았다. 하지만 3학기째인 지난 학기 성적표에는 “무용수로서 최고”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사이 복슬복슬한 털옷을 자주 입고 다녀 ‘곰’이라는 별명도 얻었고 친구들과 컴퓨터로 자동차 레이싱 게임을 하는 재미도 알았다.
허 군은 파리오페라발레단 수석 무용수인 마뉘엘 레그리를 가장 좋아하는 무용수로 꼽았다. 하지만 장래희망을 묻자 의외의 답이 나왔다. 새 학교가 소년에게 새 날개를 달아준 듯했다. “학교에서 안무 숙제를 내줬는데 제가 음악에 맞춰 동작을 짜는 게 재미있었어요. 앞으로 훌륭한 안무가가 되고 싶어요.”
이새샘 기자 iamsam@donga.com
대통령의 체중계는 괜찮은 걸까[오늘과 내일/박중현]
이낙연, 홍남기 면전서 “정말 나쁜 사람” 비판
홍준표 “이낙연 몸부림 가련해…똑같이 사찰해 놓고”
[단독]택시기사, ‘이용구 동영상’ 복구후 지인에 전송
[김도연 칼럼]거짓에 너그러운 사회의 미래는 어둡다
이성윤에 ‘피의자 출석’ 3번째 요구… 檢안팎 “기소 염두에 둔듯”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