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대신 중·소극장에 작품이 포진했다. ‘스토리 오브 마이 라이프’(동숭아트센터 동숭홀·7월 13일∼9월 19일), ‘톡식 히어로’(KT&G상상아트홀·8월 14일∼10월 10일), ‘베로나의 두 신사’(세종문화회관 M시어터·7월 17일∼8월 28일) 등이 중극장에서 공연된다. ‘치어걸을 찾아서’(대학로 아티스탄홀·7월 23일∼9월 18일)와 ‘달콤한 인생’(대학로 예술마당 4관·7월 14일∼12월 31일)은 소극장 뮤지컬이다. 작년까지의 ‘여름=대형 쇼 뮤지컬’ 공식이 무색해지는 ‘작은 뮤지컬’의 약진으로 부를 만하다.
○ ‘웃음+감동’은 그만
‘스토리 오브 마이 라이프’는 남자배우 2명만 등장한다. 세트도 책꽂이, 테이블, 의자가 전부다. 베스트셀러 작가가 오랜 지기인 서점 주인과 30년에 걸쳐 나눈 우정을 보여주는, 기존 뮤지컬과 비교하면 ‘심심한’ 작품이다. 연출을 맡은 신춘수 씨는 “차분하게, 서정적으로 남자들의 내면을 짚을 것”이라면서 “작품을 보면서 관객이 생각을 깊이 하도록 하자는 의도”라고 말했다.
‘달콤한 인생’의 원작이 된 TV드라마는 불륜 관계를 다루되 치밀한 심리 묘사로 풀어서 마니아층의 지지를 받았다. 대본을 맡은 이희준 작가는 “사건 위주로 보여주기는 어려운 작품인 만큼 노래와 춤 등 뮤지컬만의 특성을 통해 감정의 변화를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베로나의 두 신사’는 노래 비중을 줄이는 대신 대사의 무게감을 강조한다. 셰익스피어 희곡이 원작인 만큼 남녀의 얽힌 사랑을 평이하게 풀지 않고 대사의 시적인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 낯선 상상력으로 승부하다
기성 뮤지컬에 반기를 드는 SF적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도 있다. ‘톡식 히어로’는 유독성 물질 통에 빠져 녹색 괴물로 변한 주인공이 환경오염에 맞서 싸운다는 이야기. 지난해 미국 뉴욕에서 막이 올랐을 때 개성 있는 B급 정서로 화제가 됐던 작품을 라이선스 뮤지컬로 선보인다.
‘치어걸을 찾아서’는 전염병으로 여자들 대부분이 죽어버린 미래를 배경으로 삼았다. 여자들이 따로 모여 사는 섬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해적들이 찾아간다는 이야기다. 연출자 송용진 씨는 “로맨틱 코미디가 된다 싶으면 다들 그런 작품만 만들고, 무비컬이 된다 하면 다들 무비컬만 만드는 획일적인 창작 뮤지컬 시장에 이 작품이 새로운 모습을 제시할 수 있기 바란다”고 제작 의도를 밝혔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
“국민을 아무리 개돼지로 안들…” 文캠프 출신 변호사 중수청 비판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단독]윤석열측 “尹총장, 이르면 오늘 사의 표명할 듯”
文대통령 1등공신 윤석열, 文의 최대 정치적 라이벌 되다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홍준표 “공수처 이어 중수청 설치? 文 수사 두려워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